송영대(宋榮大) 전 통일원 차관은 3일 정부대표단과 여야의원이 평양 6.15 민족통일대축전에 대거 참석하는 것에 대해 “북한의 통일전선전술에 동조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송 전 차관은 이날 한나라당 의원모임인 국가발전전략연구회 초청 강연에서 이같이 말한 뒤 “북한은 평양 축전을 통해 반전평화, 민족공조를 앞세워 핵문제를 희석시키려는 의도를 갖고 있다”고 밝혔다.
송 전 차관은 “북한에 비료를 주고 방북단 규모도 축소하는 등 수모를 당하면서 굳이 평양에 갈 필요가 있겠느냐”고 지적한뒤 “더구나 군중속의 하나로 정부대표단이 끼어드는 것은 정부의 위상을 추락시키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송 전 차관은 또 북한이 6.15 행사 방북단 규모의 축소를 요구한 배경에 대해 “미국의 대북 압박으로 남북 민족적 행사가 어렵다는 분위기를 조성, 남한 국민이 반미감정을 갖게 하고 한미정상회담에서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이 부시 대통령에게 북한을 압박하지 말도록 요청하게 하려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또 정동영(鄭東泳) 장관이 방북단에 참여하려는 이유에 대해서도 “한 번도 평양땅을 밟지 못한 통일부장관이란 소리를 듣기 싫고, 또 향후 정치적 위상을 감안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여야 국회의원이 참석하는 것에 대해서도 “간접적으로 북의 인민회의 의원들을 만날 수 있겠지만 군중집회에만 이용될 수 있다”면서 “한반도 비핵화 공동선언 이행문제를 논의하기 위하여 국회회담을 개최하는게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한편 송 전 차관은 최근 길주에서 핵 실험징후가 포착된 것과 관련, “1998년 금창리에서도 핵개발의 징후가 포착돼 북한이 미국으로부터 60만t을 받는 조건으로 사찰을 받았지만 북한의 쇼였다”면서 “이번 길주의 경우도 마찬가지”라고 말했다.
이어 송 전 차관은 북핵문제 해법에 대해 “노무현 정부와 열린우리당은 대화에 의한 해결 이외의 대안은 없는데 핵문제와 경협, 금강산 관광 등을 연계시키는 등 대화와 채찍을 병행하는 정책이 바람직하다”고 제안했다./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