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비핵화 진전에 따라 제공해야 하는 경제.에너지 지원문제를 다루는 북핵 6자회담 산하 경제.에너지협력 실무그룹 회의가 11일 판문점에서 열린다.
경제.에너지 실무그룹 의장국인 한국을 비롯해 중국, 미국, 러시아, 일본, 북한 등 6개국은 이날 판문점 남측 평화의집에서 북한의 핵시설 불능화 및 핵프로그램 신고에 맞춰 제공하기로 한 중유 95만t 상당의 경제.에너지 지원 중 남은 60% 가량의 제공계획에 대해 집중적으로 협의할 예정이다.
한.중.미.러.일 등 5개국은 전날 공여국회의에서 북한이 요구한 ‘에너지 지원 계획서’ 작성을 시도했지만 합의에 이르지 못한 것으로 알려져 이에 대한 북한의 반응이 주목된다.
북한은 특히 ‘에너지 지원 계획서’가 작성되지 않으면 핵프로그램 신고서를 제출할 수 없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져 미국의 테러지원국 명단 삭제 등 정치적 상응조치와 함께 경제적 보상 문제도 확실히 해두려는 것으로 보인다.
북한은 지난주 남북 실무협의에서 “경제.에너지 지원이 불능화 속도를 따라잡지 못하면 2단계를 마무리짓고 3단계로 나아가기 어렵다”고 밝히면서 ▲9월까지 중유지원 완료 ▲즉각적인 발전 설비.자재 제공 계획 수립 등을 남측에 요구했었다.
북한은 불능화 조치 11개 중 8개를 마무리했고 나머지 3개 조치 중 핵심인 폐연료봉 인출작업도 총 8천개 중 3천200개 정도가 진행됐지만 에너지 제공은 중유로 환산하면 총 95만t 중에서 33만여t(설비자재 계약분까지 포함하면 39만t)만 이뤄져 속도가 느리다며 불만을 제기해 왔다.
6개국 대표단이 모두 모인 경제.에너지 실무그룹 회의가 열리는 것은 작년 10월 이후 8개월 만이다./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