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남북한과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 등 6자회담 참가국들은 20일 베이징(北京) 댜오위타이(釣魚臺)에서 수석대표회의와 양자협의 등을 갖고 북핵폐기를 위한 초기조치 이후 단계의 이행계획을 본격 논의한다.
최대 쟁점은 북한 핵시설의 조기 ‘불능화’를 위해 한.미.일 등을 중심으로 추진되고 있는 ‘영변 핵시설 폐쇄 직후 불능화 착수’ 방안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과 미국 등은 폐쇄 대상 시설은 따로 신고를 거치지 말고 곧바로 불능화에 들어가자는 입장이지만 북한은 신고가 이뤄진 다음 불능화에 착수한다고 맞설 가능성이 커 어떻게 절충점을 찾을 지 관심이다.
회담 소식통은 “영변 핵시설 폐쇄와 봉인,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찰단의 방북 등 다음달 14일까지 해야하는 초기단계 조치는 이미 대표단들의 관심이 아니다”며 “초기단계 이후 사항에 대해 집중적인 논의가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불능화 방안과 아울러 핵프로그램 신고에 대한 로드맵도 성안될 지 주목되며 5월 초로 예상되는 6개국 외무장관 회담의 구체적 일정 및 의제도 본격 논의될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이번 회담 기간 북.미 수석대표 간 첫 양자회동이 오전에 열릴 것으로 알려져 방코델타아시아(BDA) 문제 해결의 순풍을 타고 북.미관계 정상화 속도에도 탄력이 붙을 지 주목된다.
한.중 양자접촉도 오전 10시30분 열릴 예정이며 남.북 양자접촉도 이날 중 이뤄질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이번 회담을 마무리할 합의문서의 성격은 공동성명보다는 의장성명이나 의장요약이 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