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민주화네트워크를 비롯한 45개 시민사회단체는 5일 제 62차 유엔총회에 상정될 ‘북한인권결의안’에 정부가 찬성표결할 것을 촉구하는 공동성명을 발표했다.
단체들은 성명서에서 “한국 정부가 남북 관계를 의식해 2003년부터 2005년까지 북한인권결의안에 대해 불참과 기권을 해오다가 지난해에는 찬성했다”며, 최근 정부의 기류 변화를 의식해 “올해도 찬성 표결하라”고 강하게 요구했다.
또한 이들은 “국제사회가 북한인권을 위해 발 벗고 나서는데 한국 정부만 같은 민족인 북한 동포의 끔찍한 인권상황에 대하여 외면하는 것은 납득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이어 “유엔 사무총장을 배출한 인권 선진국답게 국제사회의 일원으로서 다른 나라들보다 적극적으로 북한 인권 개선에 앞장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아직까지 정부의 공식 입장이 발표되지 않았지만 정부 내에서는 정상회담 등 남북관계를 고려해 올해는 결의안에 기권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그동안 표결에 기권할 때는 공식 입장 표명을 미루다가 표결 바로 직전 정부 입장을 발표했다.
유엔총회 차원의 결의안은 법적인 구속력은 없지만 3년 연속 채택 대북 인권결의안이 통과될 경우 북한에게는 큰 압력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다음은 공동성명 참가단체(총45개·가나다순)
겨레선교회, 경희대 북한인권모임(준), 광야횃불선교회, 기독교사회책임(탈북동포회), 기독북한인연합, 납북자가족모임, 납북자가족협의회, 뉴라이트싱크넷, 뉴라이트재단, 명지대 ZiNKa, 바른교육권실천행동, 바른사회시민회의, 바른시민옴브즈맨, 북한민주화네트워크, 북한민주화운동본부, 북한민주화위원회, 북한인권시민연합, 북한인권청년학생연대, 북한인권탈북청년연합, 북한정의연대, 백두한라회, 서평방송(SPTV), 숙명여대 H.A.N.A, 숭의동지회, (사)열린북한, 요덕스토리, 원광대 인권의 빛, 6.25전쟁납북인사가족협의회, NK인포메이션센터, 자유북한군인연합, 자유북한방송, 자유북한인협회, 자유주의교육운동연합, 자유주의연대, 전북대 북극성과 하눌타리, (사)탈북문화예술인총연합회, 탈북민사역자연합회, 탈북여성인권연대, 탈북자동지회, 탈북태권도연합회, 통일문필가협회, 통일을준비하는탈북자협회, 평양민속예술단, 평화통일탈북인연합회, 피랍탈북인권연대, 한양대 북한인권동아리 등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