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간부들의 부정부패 사건과 관련해 소집된 제8기 제30차 비서국 확대회의 이후 중앙당의 검열조가 각 도·시·군으로 파견돼 여기저기를 들쑤시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검열 대상에는 급양봉사·편의봉사 시설도 포함되고 있는데, 이로 인해 긴장된 분위기가 감돌면서 매출에도 타격이 발생하고 있다는 전언이다.
14일 데일리NK 평안북도 소식통은 “중앙당에서 파견된 검열조가 이달 초부터 사회 전반에 대한 실태 점검과 일꾼들에 대한 감찰과 검열을 실시하고 있는데, 여기서 가장 크게 피해를 보고 있는 곳이 바로 식당들”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이번 비서국 확대회의에서 남포시 온천군 당위원회 일꾼들의 음주 접대 사건이 크게 문제시됐는데, 이 사건에 연루된 봉사망 즉, 지역 내 식당들과 오락시설들에도 후폭풍이 몰아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관련 기사 바로보기: 온천군 음주 접대 사건에 급양봉사시설 일꾼들도 줄줄이 처벌)
검열조가 봉사망을 찾아다니며 일꾼들의 시설 이용 횟수와 목적, 동반자 등을 낱낱이 조사하는 상황이다 보니 본격적으로 검열이 시작된 이후로 사업적인 일이나 청탁을 목적으로 식당을 찾던 이용객들이 자취를 감춰 그야말로 썰렁해졌다는 게 소식통의 이야기다.
소식통은 “지난달만 해도 명절 인사 차림 자리로, 또는 새해의 사업적 문제로 식당 골방(룸)들이 꽉 찼으나 2월에 들어서면서 확대회의 여파와 후속으로 이어지는 검열로 손님들의 발길이 뚝 끊겼다”며 “그러니 식당들에서 돈이 안 벌어진다고 아우성”이라고 전했다.
특히 최근 10년간 북한에도 외식 문화가 발달하면서 식당들이 그런대로 매출을 올려왔지만, 이번 온천군당 일꾼들의 음주 접대 사건을 기점으로 크나큰 위기를 맞게 됐다는 설명이다.
소식통에 따르면 북한에서 운영되는 식당은 크게 행사용, 접대용, 편의용으로 나뉜다.
행사용 식당은 주요 대회 참가자들이나 단체 견학 및 관광객들을 상대로 하는 식당으로, 대표적으로 평양의 옥류관이나 청류관 등이 있다. 접대용 식당은 상급 단위 간부들을 접대하는 데 주로 이용되는 선술집이나 단고기(개고기)집 등이며, 편의용 식당은 일반 주민들이 단순하게 한 끼를 해결하려 찾는 역전 식당이나 군인 식당 등이다.
소식통은 “시장에서 (북한 돈) 3500원 정도 하는 돼지머리국밥 한 그릇이 편의용 식당들에서는 7000원 정도 하고, 접대용 식당에서는 1만 5000원 이상”이라며 “그러니 일반 주민들은 접대용 식당에 들어갈 일이 없고, 이런 식당을 드나드는 사람이라고 해야 모두 사업 목적으로 접대차 상급에서 내려온 간부들과 동행하는 지역 간부들이나 돈주들”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그런데 지금 손님이 없어 접대용 식당들의 골방에 불이 꺼진 상태가 10여 일이 지나고 있다”며 “이번 검열이 끝난다고 하더라도 이런 상태가 언제까지 지속될지 몰라 속을 태우는 사람들이 많고, 식당을 이용하는 외식 문화가 이번 일로 인해 퇴보할 가능성이 높다 우려도 나오고 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