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행방불명된 해외 파견 노동자들 행적 전수 조사 중

탈북해 한국 입국 확인된 경우에는 북한에 남아 있는 가족들 처벌…당원증 박탈, 오지 추방도

/그래픽=데일리NK

북한 당국이 해외에 파견된 자국 노동자들의 인원 파악에 나서는 한편, 행방불명된 노동자들의 행적을 전수 조사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7일 데일리NK 러시아 현지 대북 소식통에 따르면 북한 당국은 러시아에 파견된 북한 노동자들이 소속돼 있는 무역회사나 작업 소조를 통해 실제 일하고 있는 인원수를 정확히 파악하고 있다.

그러면서 행적이 불분명한 인원이 있으면 언제부터 보이지 않았는지, 탈북을 돕는 한국인이나 외국인과 접촉하지 않았는지, 탈북해 한국에 들어갔는지 등을 조사하고 있다.

또 북한 내부 소식통에 따르면 북한 당국은 중국이나 몽골 등 해외에 파견된 자국 노동자들의 구체적인 인원 파악과 사라진 인원의 행적도 전수 조사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북한 당국은 행방불명된 노동자들이 탈북해 한국에 입국한 사실이 확인된 경우에는 북한에 남아 있는 가족을 처벌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해외에서 5년 넘게 일하다 2년 전 탈북해 국내에 입국한 A씨는 “최근 북한 보위부가 고향집을 찾아가 부모님을 잡아갔다”며 “자식이 한국으로 간 사실을 알고 있었냐고 윽박지르고 취조하더니 결국 아버지의 당원 자격을 박탈했다”고 전했다.

아버지는 20년 이상 탄광 노동자 일한 후 입당 자격을 얻었지만, 자식이 노동자로 해외에 파견됐다가 탈북했다는 이유로 당원 자격을 박탈당했다는 것이다.

이에 A씨는 “부모님은 요즘 같은 세상에 당원증으로 무슨 덕을 보겠냐며 신경 쓰지도 말라고 하시지만 죄송한 마음”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그는 탈북 후 최근까지 북한에서 행방불명자로 처리된 상태였다고 한다. 그러다 최근 북한 보위부가 한국에 입국한 사실을 알게 된 것 같다는 게 A씨의 말이다.

그는 “부모님을 다른 지역으로 추방하지 않은 것이 다행”이라며 “파견 노동자로 해외에 나갔다가 탈북한 사람들 중 또 다른 사람은 가족이 대도시에 살다가 농촌으로 추방됐다”고 전하기도 했다.

코로나 국경봉쇄 이후 해외에 노동자 또는 무역일꾼으로 파견된 이들 가운데 탈북하는 사례가 많아지자 북한 당국이 해외 파견자들에 대한 감시를 강화하고 탈북 시도를 철저히 차단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본보는 북한 당국이 최근 러시아에 파견돼 있는 북한 노동자들의 휴대전화를 몰수하라는 지시를 하달했다고 전한 바 있다. (▶관련 기사 바로가기: 러시아 파견 노동자들 휴대전화 몰수 지시…탈북 원천 차단)

해외의 북한 노동자들이 소지하고 있는 휴대전화는 외부 소식을 접할 수 있는 통로이기도 하면서 탈북 시에는 브로커들과 연락할 수 있는 중요한 수단이기 되기도 한다. 이 때문에 북한 당국의 휴대전화 몰수 조치에는 노동자들의 탈북을 원천 차단하려는 의도가 포함된 것으로 읽힌다.

더욱이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지난해 9월 러시아를 방문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가진 이후 북러 밀착이 강화되면서 러시아에 파견된 북한 노동자의 탈북을 막기 위한 감시·통제 활동에 러시아 정보기관도 협조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