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2차 남북정상회담이 대선을 불과 두 달여 앞둔 시점인 10월로 연기되면서 정치권에서는 이번 대선에 미칠 영향을 두고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일단 북한은 수해 복구를 위해 정상회담 연기를 요청해온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결과적으로 10월은 8월보다 대선에 더 가까운 시점이기 때문에 파장이 더 커질 가능성이 있다.
게다가 9월 15일부터 10월 14일까지 치러지는 범여권 국민경선 일정과 맞물려 있어 대선 정국에 어떤식으로든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대선에 직간접 영향 미칠 것” = 범여권은 그동안 북핵 해결, 남북 화해 무드 조성 등 평화 이슈를 계속해서 공론화 시켜왔다.
대선을 두달여 앞둔 10월에 이러한 공세는 더욱 거세질 것이다. 정상회담에서 남북이 상징적인 평화선언을 내올 경우 전쟁세력과 평화세력 중 하나를 선택하라고 윽박지를 가능성이 크다.
이렇게 되면 그동안 핵문제 등에 대해 북한에 원칙적 입장을 고수해 왔던 한나라당 후보는 범여권 후보에 비해 긴장과 대결을 선호한다는 이미지를 갖게될 수 있다.
나경원 한나라당 대변인은 19일 논평에서 “정상회담이 시급하다면 북한 수해를 피해 개성이나 서울 등 다른 장소에서 하자고 할 수도 있었을 것”이라며 “차라리 대선 이후로 연기하면 오해가 없었을 것이다. 10월초면 여권의 대선후보가 막바지 탄생하는 시점을 눈앞에 두게 되니 대선용 정상회담과의 시너지 효과를 톡톡히 노린 것이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유호열 고려대 북한학과 교수는 데일리NK와의 통화에서 “대선을 두달여 앞둔 10월에는 북한 문제 등이 주요이슈가 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정상회담은 대선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면서 “남북 정상이 북핵문제, 한반도 평화 문제 등에 대해 합의를 이끌어 낸다면 범여권 후보에게 유리하게 작용되며 최대 수혜자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유 교수는 “남북 정상간의 합의가 대선의 판도를 흔들 정도의 큰 영향을 미치기는 어렵지만 그동안 평화 이슈를 제기해왔던 범여권의 결집과 후보 결정 등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며 “10월 남북 정상회담은 범여권 후보 결정과정에 국민들로 하여금 관심을 받는 등 흥행 성공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익명을 요구한 국책연구기관의 한 교수는 “현재로서는 10월 정상회담이 대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에 대해 판단하기 어렵다”면서도 “남북정상회담이 범여권 후보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한나라당 후보에게도 일정정도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남북정상회담은 양 진영에 상당한 부담으로 작용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北, 12월 대선도 염두” =북한이 정상회담 연기 시기를 선택할 때 남한 대선을 고려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북한은 연기 요청 전통문에서 10월 중으로 날짜를 박았다.
유 교수는 “수해가 없었다면 이번 회담이 예정되로 열렸을 것”이라면서도 “북한이 수해로 연기를 해야하는 상황에서 남한 국민들이나 국제사회에 보다 많은 도움을 받는 동시에 대선을 앞둔 정상회담을 통해 보다 큰 정치적 반향을 일으키려는 의도도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국책연구기관 교수도 “북한이 대선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 정상회담을 연기했다고 볼 수 없지만 정상회담 자체가 정치적인 고려가 반영되어 있는 것이기 때문에 북한은 다양한 계산을 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그는 “두번째 열리는 정상회담이 가지는 의미가 처음보다 상대적으로 상쇄됐고 남북간의 선언적인 합의를 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범여권이 역풍을 맞을 수 있고 대선에도 큰 영향을 주지 못할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