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親北·反美’로 무장한 한총련 8·15 행사

8·15를 앞두고 범청학련, 한총련, 통일연대, 민노총, 한국노총, 전교조, 민노당 등 친북좌파 단체들의 ‘통일행사’(8.15통일대축전)로 전국이 시끄럽다.

매년 반복된 행사지만 올해는 한총련을 중심으로 그 정도가 더욱 심각하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한총련을 주축으로 구성된 ‘통일선봉대’의 활동은 ‘반미운동’의 초절정판. 이들은 북측의 주장을 그대로 옮기는 고장난 녹음기라는 비난까지 받고 있다.

통일선봉대는 이달 3일부터 15박 16일 동안 전국을 돌며 ‘평택미군기지 이전 반대’와 ‘한미FTA 반대’ ‘한미동매 해체’ 등의 공개적으로 홍보하고 있다. 지난 12일 통일선봉대 600여명은 평택에서 미군기지 이전반대 집회를 열고 기지 이전지역인 대추리 진입을 시도해 경찰과 충돌을 벌였다.

젊은 대학생들로 구성된 이들 반미시위대는 사전에 수차례의 내부 교육을 통해 반미운동의 정당성을 설파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北 미사일 발사, 美 대북적대정책 때문”

통일선봉대가 공개한 내부 교양자료집에 따르면 “반미반전 민족공조로 한반도 평화와 통일을 이루자”며 “북한의 미사일 발사는 미국의 대북 적대정책이 초래한 것”이라고 적고 있다.

이어 “북한은 전쟁위기가 닥칠 때마다 군사적 자위력을 앞세워 이를 돌파해왔다”며 “1차 핵위기를 조성하던 93년에는 노동1호 미사일 발사로 제네바 합의를 이끌어냈고, 98년엔 광명성1호를 발사해 ‘페리보고서’을 이끌어냈다”고 주장했다.

자료집은 “북의 군사적 자위력은 한반도 전쟁을 막는 실질적 방패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라며 북한의 기존 주장을 그대로 되풀이 했다.

‘한미FTA 추진’에 대해서는 “현재 협상중인 한미 FTA는 단순한 상품무역 협정을 넘어 서비스, 투자, 지적재산권 등 거의 모든 통상 분야를 포괄하는 높은 수준의 FTA”라며 “한국의 제도와 관행을 미국의 일방적 요구와 기준에 맞추기를 요구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와 같은 반미교육을 앞세우다 보니 ‘통일행사’의 간판을 걸고도 활동이 ‘반미’로 치우칠 수 밖에 없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이와같은 활동은 최근 북미간의 대결로 북한 체제가 위기에 봉착하자 친북세력이 내건 적극적인 북 체제옹호 투쟁방침이라는 것이다.

이와 함께 범청학련 남측본부는 성명을 통해 “통일선봉대는 겨레의 안녕과 평화가 엄중히 위협당하고 있는 이 시각 청춘의 모든 것을 다 바쳐 강력한 반외세 평화수호 운동의 불길을 지펴 올리자”고 주장했다.

이어 “광범한 청년학생들 속에 핵전쟁의 원흉, 미제의 정체를 폭로규탄하기 위한 투쟁을 힘 있게 벌려 나갈 것 ▲ 반전평화의 기치를 높이 들고 미국의 전쟁도발책동을 청춘의 단합된 힘으로 단호히 배격 할 것▲ 조국 남녘땅에서 전쟁과 대결의 근원 미제침략군을 몰아내기 위한 미군철수운동을 더욱 힘차게 벌려 나갈 것”을 결의하기도 했다.

미국은 한반도 평화 깨트리는 ‘공공의 적’

이들 단체들은 미국을 한반도 평화를 깨트리는 ‘공공의 적’으로 묘사하고 있다. 또한, 북한의 핵개발도, 미사일 발사도 모두 미국이 원인을 제공한 것으로 김정일 정권은 아무런 책임도 없다고 강변하고 있다.

한편, 범청학련 남측본부 홈페이지에는 범청학련 북측본부(의장 김인호)가 보내온 연대사가 게시판에 올라와 있어 이들의 친북적 활동을 가늠케 하고 있다.

연대사에는 “지금 미국은 국제무대에서 대북제재를 떠들면서 핵전쟁의 도화선에 불을 달려고 하고 있다”며 “친미 반통일 호전세력들은 이에 편승해 우리의 보금자리, 삶의 터전인 조국강토를 외세의 핵 시험장으로 섬겨 바치지 못해 발광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정작 시민들의 반응은 냉담하기만 하다.

연세대학교 측은 한총련이 13일부터 교내에서 개최할 예정인 통일한마당 등의 행사와 ‘연대항쟁 10주년 기념대회를 모두 불허하기로 했다. 학교 교수회 측도 외부세력이 참여하는 이번 행사의 개최를 반대하는 성명을 냈다. 연세대총학생회 게시판에도 행사 개최를 반대하는 학생들의 글이 이어지고 있다.

이들 단체들의 활동을 다룬 포털 사이트 뉴스에는 ‘한반도 평화를 깨는 공공의 적은 미국이 아닌 한총련과 통일연대를 비롯한 친북좌파들’이라는 댓글이 주를 이루고 있다. 또한 ‘미군 철수가 아닌 북한 동포들의 생명과 인권을 위한 활동을 펼치라’고 비판이 제기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