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국무부, `로버트 박’ 문제 어찌하오리까

미국 국무부가 지난해 세밑 돌출적으로 발생한 북한인권운동가 로버트 박의 북한 `월경’ 행위를 어떻게 다뤄나가야 할 것인지를 놓고 난감한 입장에 처했다.


작년 8월 빌 클린턴 전 대통령의 평양방문을 통해 극적인 해결책을 찾은 미국적 여기자 2명 억류사건과는 달리 로버트 박 문제는 본인이 자발적으로 북한으로 들어간 것은 물론 미국 행정부의 중재 또는 개입을 극력 반대하고 있기 때문이다.


로버트 박은 성탄절인 지난달 25일 북한의 인권개선을 촉구하겠다며 무단으로 북한 국경을 넘어들어갔다가 북한 측에 의해 지금까지 억류된 상태다.


국무부는 사건 직후 “이번 일은 안보 또는 정치적인 문제와는 무관하다”며 북한 측에 영사접근권 허용을 촉구하는 등 외견상 로라 링, 유나 리 기자가 억류돼 있을 때와 유사한 대응에 나섰다.


그러나 두 여기자는 억류기간 여러 차례에 걸쳐 미국내 가족들과 전화통화를 하면서 자신들의 생환을 위해 미 행정부가 나서 줄 것을 적극 호소했고, 이에 따라 미 국무부는 이들의 석방을 위한 다각적인 외교적 노력을 경주할 명분과 의욕이 있었던 게 사실이다.


반면 로버트 박의 경우에는 북한으로 넘어가기 전 언론과 가진 인터뷰에서 “북한 인권 유린을 부각시키기 위해 방북하는 것이기 때문에 인권 문제가 해결되거나, 내가 죽기 전까지는 계속 억류 상태로 남겠다”며 마치 `순교자’와도 같은 처연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이렇다 보니 힐러리 클린턴 국무장관은 이번 사건에 대해 특별히 언급을 않고 있고, 국무부 관리들도 일단 상황을 지켜보겠다는 태도다.


국무부 입장에서는 특히 로버트 박이 주장하는 북한 인권개선 문제가 민감한 사안이어서 이래저래 대응수위를 조절하기가 쉽지 않은 듯하다.


북핵문제 해결을 위한 6자회담이 장기간 표류 중인 상황에서 로버트 박 문제를 둘러싸고 북한 인권논란이 격화될 경우 6자회담 재개노력에 상당한 부담으로 작용할 것이 우려되기 때문이다.


이런 가운데 내주 방한하는 로버트 킹 미 국무부 대북인권특사가 과연 이 문제와 관련해 목소리를 낼지 주목되고 있다./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