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나라당 대선주자인 이명박 전 서울시장이 외교·안보 분야 대선주자 정책토론회를 하루 앞두고 남북경협의 구체적 구상으로 한강 하구에 남북경제협력지구를 건설하겠다고 18일 밝혔다.
이 전 시장은 이 날 오전 여의도 캠프 사무실에서 “비무장지대 구역 안에 있는 한강 하구에 새로운 경제협력지구인 ‘나들섬’을 남북이 함께 조성토록 하겠다”며 “한반도가 21세기 동북아 거대 물류의 중심이 되도록 하는 새로운 국토계획을 수립하겠다”고 밝혔다.
이 전 시장의 구상은 한강 하구 자연 상태의 퇴적지를 섬으로 개발해 남북경제협력 지구를 조성하겠다는 것. ‘나들섬’의 최적지는 경기도 강화군 교동도 북동측 한강하구 퇴적지 일대로 총면적은 약 30㎢(약 900만평)로 여의도의 10배에 달한다.
이 전 시장은 “정부가 주도해 공영개발 방식을 도입하면 비용은 부지조성과 연결도로의 건설비까지 모두 자체 조달하고도 남을 것으로 추정한다”며 “그 돈은 남북협력기금으로 넣어서 요긴하게 쓸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구상은 물론 북한과의 합의 위에서 함께 추진 돼야 하지만, 북한도 반대할 이유가 없을 것”이라며 “체제에 대한 직접적인 부담 없이 개방의 문을 열고 실익을 챙길 수 있기 때문이다. 북한이 핵을 포기하고 개방의 길로 나오기를 다시 한번 촉구하면서 이 제안도 받아들이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 섬의 이름을 사람과 정보, 물자와 자본이 활발히 드나드는 교류협력의 장의 의미로 ‘나들섬(나고 드는 섬)’이라고 하면 좋겠다”고 이 전 시장은 제안했다.
또 이 구상은 “우리의 노동 및 기술집약적인 중소기업들이 입지하도록 해서 북한의 노동력과 결합하게 하자는 것이다. 중장기적으로는 해외자본도 투자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북한 노동자들은 출퇴근 하면서 시장경제체제의 자유로운 여건 하에서 기술을 익히고 생산활동에 참여하게 되므로 큰 부담없이 실익을 도모할 수 있게 될 것”이라며 “우리로서는 생산 환경 때문에 해외로 빠져나가는 중소기업을 이곳으로 입지시키고, 또 나갔던 기업도 되돌아올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나들섬’ 연안에는 남북한이 공동으로 쓰도록 항만을 조성하고, 서울과 인천은 물론 평양과 개성으로 연결하는 육로도 확보하게 된다”며 “특히 나들섬-강화도-인천공항을 직결하는 도로를 건설하면 북한 주민들은 혼잡한 수도권을 거치지 않고 바로 세계적인 최신공항을 이용할 수 있게된다”고 설명했다.
|
이 전시장은 측은 ‘한반도의 맨해튼’을 지향하는 ‘나들섬’의 개발효과로 ▲군사대치완화에 따른 국가위험도 저하로 외국자본 투자 증가 ▲국제물류, 교육기지 확보 등을 통해 본격적인 대중국 서해안 시대 개막 ▲사회간접자본의 사전 구축에 따른 통일 비용 절감 등을 들었다.
이 전 시장이 ‘한반도 대운하’에 이어 ‘나들섬’이라는 남북경협 관련 건설공약을 발표하면서 내일 있을 경선 토론회에서 ‘나들섬’이 새로운 이슈로 떠오를 전망이다. 한반도 대운하에 대한 공격이 집중되자 이를 나들섬으로 만회하려는 의도가 있다는 해석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