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 “남북간 모든합의 北과 협의할 용의”

이명박 대통령은 11일 “과거 남북 간에 합의된 7.4공동성명, 남북기본합의서, 비핵화 공동선언, 6.15공동선언, 10.4정상선언을 어떻게 이행해 나갈 것인지에 관하여 북측과 진지하게 협의할 용의가 있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이날 오후 국회 개원식에 참석, 시정연설을 통해 향후 국정운영 방향을 밝히면서 “비핵화의 진전과 함께 실질적인 남북협력이 활발해질 것이며, 더불어 잘 사는 한반도 시대도 열릴 것이다. 이를 위해선 남북당국의 전면적인 대화가 재개돼야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 대통령은 또 “우리의 대북정책은 북한의 비핵화를 최우선으로 하면서, 남과 북 모두에게 이익이 되는 상생과 공영의 길을 개척해 나가는 것”이라며 “한반도의 진정한 화해와 협력을 위해서는 북핵 해결이 선결과제”라고 말했다.

이어 “최근 북한이 핵 신고서를 제출하고 6자회담이 재가동되면서 비핵화의 실질적 진전을 위한중요한 발걸음을 내딛고 있다”며 “우리 정부는 앞으로도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를 위해 6자회담 당사국들과 함께 모든 노력을 경주할 것”이라고 다짐했다.

아울러 이 대통령은 남북한 간 인도적 협력 사업의 추진을 제의했다.

그는 “정부는 동포애와 인도적 견지에서 북한의 식량난을 완화하고 주민들의 고통을 덜어주기 위해 협력할 준비가 되어 있다”며 “국군포로와 이산가족 문제, 납북자문제도 해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국군포로와 이산가족 1세대는 이제 70~80대에 접어들었다”며 “이분들이 헤어졌던 가족들과 자유롭게 왕래하고, 꿈에 그리던 고향으로 돌아올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남북한 모두의 윤리적 책무”라고 했다.

이와 함께 “남북관계도 이제는 새로운 사고, 새로운 방향이 절실히 필요하다”며 “우리는 호혜의 정신에 기초하여, ‘선언의 시대’를 넘어 ‘실천의 시대’로 나아가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어 “특정 정권 차원이 아니라 민족 장래의 관점에서 남북관계를 만들어가야 한다”며 “이런 차원에서 국회의 초당적 협력과 국민적 공감대를 바탕으로 통일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다짐했다.

한편, 이 대통령은 최근의 고유가 문제 등 대외적으로 악화된 경제여건에 대한 우려도 표시했다.

이 대통령은 “유가와 곡물가, 원자재 값이 급등하고, 세계금융시장도 여전히 불안한다”며 “대외 의존도가 70%에 달하는 우리 경제는 그 충격을 그대로 받고 있다. 물가는 오르고, 경기마저 위축돼 국민들께서 얼마나 힘드신지 잘 알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런 가운데서도 우리 사회는 분열과 갈등이 심화되고 있다”면서 “구심력보다 원심력이 커지고 있다. 신뢰가 약해지고, 법과 원칙이 무시되는 일도 빈번해지고 있다”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발전’과 ‘통합’은 이명박 정부 국정운영의 두 수레바퀴”라며 “위기일수록 정부가 해야 할 일은 고통 받는 서민들을 세심하게 돌보고 국민의 긍정적 에너지를 모아내는 것이다. 통합 없이 발전 없고, 발전 없이 통합 없다. ‘발전’과 ‘통합’의 두 수레바퀴를 힘차게 돌리기 위해 저와 정부부터 거듭나겠다”고 다짐했다.

또한 “최근 ‘쇠고기 문제’는 저에게 많은 가르침을 주었다”면서 “시간이 걸리더라도 국민의 눈높이에서, 국민과 함께해야 성공할 수 있다는 것을 깊이 깨달았다. 국민의 목소리에 더 세심하게 귀 기울이는 한편, 법치의 원칙을 굳건히 세워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