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5일 열린 한나라당 상임전국위원회에서 ‘경선 룰’ 개정안이 만장일치로 통과돼 이명박-박근혜 두 대선주자의 ‘경선 룰’ 공방이 일단락됐다.
겉으로 드러난 면만 보면 이 전 시장은 ‘명분’을, 박 전 대표는 ‘실리’를 챙겼다는 평가가 가능하다. 그러나 ‘양보의 미덕’을 통해 당심을 가져간 이 전 시장이 실리와 명분 모두를 챙겼다는 분석도 유력하게 나오고 있다.
캠프 내에서도 이번 양보가 실익에 있어서는 약간의 손해를 봤지만 당 내에서 이 전 시장의 위치를 확고히 다지는 계기가 되었다며 고무된 표정이 역력하다. 한 측근은 “지지도가 정체되는 시점에서 새로운 계기를 마련한 것 같다”고 말했다. 당내에서도 이번 양보를 통해 박 전 대표에게 확실한 우위를 굳혔다고 분석했다.
이 전 시장측 정두언 의원은 15일 “본인에게 손해되는 결정이지만 당의 화합을 바라는 당원의 요청과 정권교체를 바라는 국민의 열망을 받아들여 이 전 시장이 결단을 내린 것”이라며 “이번 일이 정치인 이명박으로 자리매김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경영인 출신으로 ‘위기관리 능력’에 대해선 높은 점수를 받으면서도 ‘정치력 한계’라는 꼬리표를 달고 다녔던 이 전 시장이 이번 ‘한 수’를 통해 당 내분을 치유하는 정치력을 보여줬다는 평가가 당 내에서 흘러다닌다.
중립을 표방한 한 의원도 데일리NK와의 통화에서 “이 전 시장이 이번에 양보하는 듯한 제스처를 취함으로써 당의 분열을 봉합했다는 평가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당심’을 얻는데 분명한 이득이 있을 것이라는 해석이다.
반면, 박 전 대표는 ‘원칙과 약속’을 내세워 자신의 요구를 끝까지 관철시키는 여장부의 모습을 보여줬다는 평가다. ‘경선 불참’이라는 배수진을 치고 이 전 시장과의 ‘힘 겨루기’에서 승리하면서 ‘여성은 유약하다’는 지적까지 불식시킨 것으로 보인다.
박 전 대표측 유승민 의원은 “우리는 손해 봤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면서 “이 전 시장측이 어거지를 쓴 것에 대해 원칙이 이긴 것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 전 시장이 ‘양보’가 부각되고, 강 대표와의 불화가 표면화되면서 상대적으로 ‘당심’에서 우위에 있던 박 전 대표의 당내 입지가 좁아진 것 아니냐는 지적도 만만치 않게 지적된다. 전날 이규택 전 최고위원은 “얻은 게 하나도 없다”고 평가했다.
바둑에서 ‘한 수’로 승부가 갈리는 경우가 있다. 이것이 바로 승부처다. 입신(入神)의 경지에 이른 바둑 기사들과의 대전에서건, 고수∙하수들의 대결에서건 승부처에서 장고를 거듭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이 전 시장의 이번 한 수가 ‘악수’로 드러날 지 아니면 ‘신수’로 드러날지 결과는 지켜봐야 한다. 이번 ‘경선 룰’ 합의는 본격적인 경선 과정에서 단지 ‘포석’일 뿐이기 때문이다.
이명박-박근혜 두 고수의 반상의 대결은 이제부터 시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