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통일 ‘한미동맹 파기’ 주장 대회까지 축사하나

▲이재정 통일부 장관이 19일 열린 ‘남북정상회담경축국민대회’에서 격려사를 하고 있다.

이재정 통일부 장관은 남북정상회담에서 평화체제 관련 구체적 합의가 나와야 한다고 강조했다.

19일 경남대학교 6.15통일관에서 열린 남북정상회담경축국민대회(대표 이장희)에 참석한 이재정 장관은 격려사에서 “이번 정상회담은 남북관계를 제도화하고 신뢰를 더욱 높이며 평화 정착에 관한 구체적 논의로 결실을 맺는 회담이 되어야 한다”며 “남북 사이의 모든 불안과 불신을 제거하고 평화와 번영을 이루어 통일의 새로운 국면을 만들어 갈 것”이라 했다.

이 장관은 “평화의 토대 없이는 남북 경제협력도, 역사적 미래도 없다”며 “평화구도 정착을 통해 남북이 동반자적 발전을 이루어나가는 방향에서 호혜적, 보완적 구도를 정착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또 “이러한 정상회담의 성과는 차기 정부의 성과 또한 되야 할 것”이라며 차기 정부가 회담의 합의 사항을 계승할 것을 우회적으로 촉구했다.

이 장관 축사가 끝난 뒤 발언에 나선 대회 관계자들은 “우리 민족의 평화와 통일의 이정표인 역사적인 6·15 공동선언과 ‘우리 민족끼리’ 정신을 바탕으로 외세가 강요한 분단을 마감하는 조국통일회담으로서 거대한 의의를 갖는다”고 주장했다.

박순경 통일연대 명예대표는 “국가연합식 연방제 통일을 지지하며 자주적 통일을 위해 미군 철수, 조중동맹과 한미동맹이 파기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이번 회담에서 ▲6·15 공동선언에 따라 연합연방통일을 선포하고 ▲남북통일 공동기구를 설치하며 ▲외세의 전쟁 위협의 완전한 해소 ▲남북경제공동체를 실현하는 회담이 되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날 대회에는 김원웅 국회 통일외교위원장이 참석해 국가보안법 폐지의 당위성을 역설했다. 권영길 민주노동당 대선후보는 남북 사이의 군사적 긴장 완화를 위해서는 NLL지역에 공동어로구역을 설정하는 것이 현재 유일한 방안이라고 주장했다.

이 장관은 축사를 마친 뒤 자리를 떴지만 한미동맹 파기를 공공연하게 주장하는 대회에 참석해 축사를 한 것이 적절했는지를 두고 논란이 일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