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통일 ‘세작’ 비유…정부-여야 시끌벅적

▲ 김용갑 한나라당 의원(왼)과 이종석 통일부 장관

한나라당 김용갑 의원이 작통권 관련 논의 중 이종석 통일부장관을 상대로 ‘세작’(細作, 간첩)이라고 비하한 것과 관련, 정부와 정치권의 논란이 증폭되고 있다.

김용갑 의원은 24일 국회 통외통위 결산심사에서 전시 작통권 환수의 부당함을 주장하는 과정에서 “최근 방영되고 있는 인기 드라마 ‘주몽’에 보면 세작이란 말이 나오는데 이 장관 얘기를 하면서 세작 얘기가 화제가 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세작은 다른 나라에 (첩자로) 보내 정보를 알아오는 역할을 하는 것”이라고 설명까지 곁들었다. 그러자 이 장관은 “제가 인격체 이전에 국무위원인데 세작이라는 표현은 좀…”이라며 불쾌감을 표했다.

이와 관련 통일부는 25일 성명을 통해 “김용갑 의원의 발언은 국회 면책특권을 빌어 국정을 책임지고 있는 국무위원에 대한 황당무계한 발언을 통해 국민적 불신을 야기함으로써 국가기강을 흔들 수 있는 행위이자 있을 수 없는 인격모독”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통일부는 “국민 다수가 찬성하고 있는 작통권 환수 문제에 대해 자신의 주장을 관철하기 위해 국무위원을 간첩으로 비유하는 극단적 발언을 한 데 개탄을 금할 수 없다”며 “김 의원의 책임있는 해명과 사과를 요구한다”고 했다.

이에 같은 날 김용갑 의원은 성명을 통해 “작통권 환수를 들고나와 국론을 분열시키고 나라를 존망의 위험으로 몰아넣고 있는 중심에 있는 장본인이 이종석 장관”이라며 “‘세작’은 차라리 점잖은 표현”이라고 반발했다.

통일부의 사과 요청에 김 의원은 “헌정사상 유례조차 찾기 어려운 사과 요구를 하고 있다”며 “국민의 목소리를 무시하고, 국민들의 대표인 국회의원의 명예까지 훼손한 통일부 장관이 도리어 사과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와 관련 열린당은 ‘국무위원에 대한 명예훼손이라며 국회 윤리위 차원의 제제’를 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반면 한나라당은 이러한 논의가 전시 작통권 논의의 본질을 흐릴 것을 우려한 듯, 언급을 자제했다.

열린당 이규의 부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김 의원이 국민의 정부에 이어 참여정부까지 통일부 정책 및 부처 책임자를 겨냥해 음해하고 매도하는 극우적 표현을 일삼아 왔다”며 “국무위원을 ‘세작’으로 몰아 세운 것은 명예훼손은 물론 국회를 모독한 범죄행위”라고 비판했다.

정재성 기자 jjs@dailynk.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