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정 통일부 장관은 19일 김영남 북한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의 서울 방문과 관련, “현 상태로는 연내 이뤄지리라 보기엔 어렵다”고 말했다.
이 장관은 이날 평화방송 ‘열린세상 오늘, 이석우입니다’와 전화인터뷰에서 “이번 총리회담에서 김영남 위원장의 답방에 대한 협의는 없었고 의제로도 상정되지 않았다”면서 이 같이 밝혔다.
그는 “김영남 위원장의 (남한) 방문은 국제정세 및 남북관계에 있어 필요하다고 여겨질 때 이뤄지리라 본다”고 덧붙였다.
이 장관은 지난달 정상회담에서 합의된 ‘종전선언을 위한 3∼4자 정상회담’이 북한의 핵폐기 이전에 이뤄질 수 있느냐는 질문에 “종전선언이 먼저 이뤄진다면 북핵폐기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본다”고 말해 핵폐기 이후 종전선언에 임할 수 있다는 미국 측 의견과 차이를 드러냈다.
그는 종전선언의 구체적 시기와 관련, “빠르면 빠를수록 좋지만 아무리 빠르더라도 내년 초로 넘어가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이 장관은 MBC ‘손석희의 시신집중’과의 인터뷰에서 이달 말 국방장관회담에서 논의될 공동어로수역의 구역과 관련, “어족보호와 어민권익보호, 제3국의 남획 방지 등 남북 이익에 부합하도록 최선의 협의가 이뤄질 것”이라며 “서해 북방한계선(NLL) 자체를 변경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총리회담 합의사항이 국민 부담을 늘릴 것이라는 우려에 대해 “장기적으로 봐야한다. (경의선 도로.철도 개보수만 하더라도) 조사만도 1년이 걸릴 것이다. 공사를 하려면 예산을 잡더라도 2∼3년 걸려야 하고 여러 해 걸릴 일이다. 돈이 단기적으로 들어가는 것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한편 이 장관은 총리회담에서 내년부터 개성공단에서 사용하기로 한 무선전화가 휴대전화가 아니라는 분석과 관련, “북한은 처음에는 유선전화에서 무선으로 쓸 수 있는 것으로 생각했고 우리는 처음부터 휴대전화라고 해서 결국 후에 휴대전화로 인식을 같이했다 생각한다”고 말했다./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