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은 27일 세종시 문제와 관련 “혼자 욕을 먹더라도 잘못된 것을 수정하는 것이 역사적인 사명”이라고 말했다.
이대통령은 이날 ‘특별생방송 대통령과의 대화’에 출연해 “정치적으로 편안하려고 내일 국가가 불편한 것을 그대로 할 수 있겠는가”라며 이같이 말했다.
이 대통령은 “내 옆에 있는 사람들 중 일부는 ‘임기 중 부처를 옮기는 것도 아니고 대통령께서 원안대로 하면 편하지 않겠느냐’고 말하는 사람도 있고, 일부 나라를 생각하는 사람들은 ‘국민의 절대적 지지를 받고 당선됐는데, 잘못된 것을 바로잡는 게 대통령이 할 일”이라고 강하게 권유하고 있다”고 세종시 수정의 불가피성을 피력했다.
이어 “정치적으로 좀 편하려고 내일 국가가 불편한 건을 그대로 둬야 하느냐”라며 “먼 훗날까지 갈 것도 없이 다음 임기 중 벌써 역사에 떳떳하지 못하다는 생각을 하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대통령은 특히 “지금 바꾸는 게 국가와 국민에 도움이 되더라도 사회 갈등과 혼란을 가져온데 대해 죄송하다”며 국민들에게 사과했다.
그는 “충청도민들에게 대통령 후보로서 선거할 때 사실은 그러지 않았어도 표를 얻었을지 모르겠으나, 정치를 오래 해본 사람이 아니었기 때문에 유세 때 처음에는 어정쩡하게 얘기했다가 선거 다가오니 계속 말이 바꿨다”라며 “지금 생각하면 부끄럽기도 하고 후회스럽기도 하다”고 소회했다.
이 대통령은 또 “세계 어떤 나라도 수도를 분할한 곳은 없다”면서 “지난 1년간 일하면서 경제부처 장관을 1주일에 두세 번, 아침 새벽같이 모여서 해외에서 연락할 것 하고 국내 조치할 것 해왔다”며 “그렇게 해서 일해 나가고 있는데 부처가 내려가 대통령 혼자 있으면 어떻게 하느냐”라고 ‘행정부처’이전의 비효율성을 지적했다.
이어 “총리에게도 ‘원안보다도 충청도민에게 도움이 돼야 한다’, ‘빠르게 될 수도 있고 늦게 될 수도 있지만 통일이 됐을 때 어떻게 할 것인가도 감안해서 해달라’고 말했다”며 “정부가 내는 안을 보고 판단해달라고 부탁하고 싶다”고 말했다.
특히 “세종시에 행정부처를 9개 옮긴다고 주민들이 할 일이 거의 없다. 공공기관이 가면 무슨 할 일이 있겠느냐”면서 “기업이 들어간다면 기업이 고용할 때 여기서 피해 입은, 보상을 적게 받은 분들의 자제분과 젊은 분들이 일할 기회가 생긴다”라고 설명했다.
4대강 사업과 관련해서는 “4대강 살리기는 해도 되고 안 해도 되는 일이 아니라 지금 이 시점에서 반드시 해야 할 국가적 과제”라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반대하시는 분들이 수질악화를 얘기하는데 대한민국 기술 수준이 30, 40년 전이라면 그렇지만 지금 강을 복원하는 기술은 세계 최고의 설계와 건설 기술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 대통령은 “김대중 정권 시절 태풍 루사가 와서 200명이 죽었고 5조원의 피해가 났다”며 “그때 범정부적 수해방지 대책 보고서를 만들었다”고 전했다.
이 대통령은 이어 “노무현 정권이 들어와서도 2006년 태풍이 와서 60-70명이 죽었고 당시 정부가 종합 계획을 세워 87조원을 들여서 전 부서가 ‘신국가 방재시스템 방안’을 만들었다”며 “그때는 아무도 반대하지 않았다. 20조원을 들여서 4대강을 왜 하려느냐고 하고 있다”며 지난 정권이 추진했던 종합대책 문건을 직접 들고 나와 소개했다.
이 대통령은 또 “경부고속도로 만들 때 ‘승용차도 별로 없어 다닐 것도 별로 없다’ ‘국가를 팔아먹는다’ ‘업자를 위해서 하느냐’ ‘차라리 복지에 써라’며 야당이 목숨을 걸고 반대했다”며 “지금의 4대강 반대도 지금과 비슷한 형국”이라고 주장했다.
이 대통령은 민생 부분과 관련해서는 “내년 경제성장률이 5% 내외가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며 내년 경제 성장의 전망을 밝게 내다 봤다 다만 출구전략과 관련해서는 “여러가지 수치를 보면서 출구전략 써야한다고들 하나 동의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또 이 대통령은 남북정상회담을 추진하고 있는 것 아니냐는 질문에 대해 “우리정부는 남북문제도 매우 정상적인 절차를 밝아서 해야 한다”며 “북한의 핵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가장 선결문제라고 생각하고 있고 한반도에서 비핵화를 하는데 있어서 한국은 따라만 다녔지만 대한민국이 가장 위협을 받는 당사자”라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우리 나름대로의 안을 제시해야한다고 생각했고 그래서 그랜드바겐을 6자회담 국가에 제시했으며 대부분 동의하고 또 그 길 외에는 없다”고 덧붙였다.
이어 “남북문제는 정상회담뿐 아니라 남북간의 문제도 정상적인 방법으로 돌려놓고 그 위에서 이야기를 하려고 하고 있다”면서 “정상회담도 지금당장 정치적으로 해야 할 이유도 없고 단지 북한 핵을 포기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인가 또는 우리가 인도주의적 입장에서 과거에 국군포로나 납치자 문제를 이야기하면서 풀면 이야기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대통령은 정상회담 장소와 관련해 “두 번 찾아가서 만났기 때문에 이번에는 찾아와야 하는게 맞는 것이기도 하지만 그러나 핵문제 인도주의적 문제 등을 해결하기 위해서라면 장소는 상관 없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