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대통령 “독도·금강산 문제 초당적으로 대응해야”

이명박 대통령은 16일 금강산 관광객 피살 사건과 관련, 정치권이 이에 정략적으로 대응한다면 국론분열을 노리는 북한의 의도에 말려드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국무회의에서 “일본의 독도 영유권 명기와 금강산 관광객 피살사건은 국가적, 초당적으로 대응해야 한다”며 “우리 정치권이 이 문제를 정략적으로 대응한다면 결국 한국의 국론 분열을 노리는 북한과 일본의 의도에 말려드는 것”이라고 말했다고 이동관 청와대 대변인이 전했다.

이 대통령은 특히 “정부의 임무 중 국민의 생명을 지키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없다”면서 “진상규명을 위한 합동조사와 재발방치대책, 확실한 관광객 신변안전을 위한 보장조치가 이뤄지지 않는 한 금강산 관광을 재개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이어 “지난 10년간 대한민국 정부와 민간 모두 막대한 대북지원을 해왔다”면서 “금강산 관광은 한 사람 한 사람 모두 북한을 돕겠다는 선의로 가는 것인데 북한이 비무장 관광객에게 총격을 가해 사망케 한 것은 어떤 이유로도 용납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특히 “북한은 남북 합동조사에 즉각 응해야 한다”면서 “국제적인 규범이나 상식에 비춰 보더라도 북한이 우리의 요구에 응하는 것은 지극히 당연한 일”이라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이외에도 일본의 독도 영유권 명기 강행과 관련, “국민이 분노를 금치 못하는 것은 당연하다”며 “일본이 장기적, 전략적으로 독도를 분쟁지역으로 만들려는 의도하에 차근차근 진행하고 있다는 점을 염두해두고 우리도 단기적이고 임기응변식 대응이 아니라 전략적 차원에서 장기적 안목을 갖고 대처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명박 대통령은 이날 오전 청와대에서 여성계 인사 약 200명과 가진 오찬 간담회에서 “(희생자가) 가정 주부이기도 한 데 이유 여하를 막론하고 이루 말할 수 없는 슬픔을 느낀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아직 원인이 밝혀지지 않았지만 일어나지 말아야 할 일이 일어났다”면서 “북한 관광은 단순히 그냥 관광이 아니고 ‘내가 관광하면 북한도 돕는 일’이라는 생각으로 가는 데 앞으로는 이런 일이 절대 있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