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대통령 “기다리는 것도 때로는 전략”

이명박 대통령은 북한이 다음달 1일부터 군사분계선(MDL)을 통한 모든 육로통행을 엄격히 제한, 차단할 것이라고 밝힌 것과 관련, 구체적인 언급은 피한 채 “기다리는 것도 때로는 전략”이라고 12일 말했다.

이동관 청와대 대변인은 이 대통령은 이날 중앙언론사 논설실장단 오찬간담회에서 이같이 밝혔다고 전했다.

이 대변인은 청와대의 공식 입장 및 후속대응을 묻는 질문에 “통일부 대변인의 발표가 우리 정부의 공식입장”이라고만 밝혔다.

이와 관련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북측의 조치에 대해 유감스럽게 생각한다”며 “정부는 상생과 공영이란 화두를 갖고 당국자들끼리 만나서 해결하고자 한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정치권도 이날 일제히 논평을 발표하고 북한의 발표에 대해 유감의 뜻을 표명했다. 여당에서는 북한의 조속한 대화 호응을 촉구했고, 야당은 정부의 대북정책에 책임이 있다며 공세를 폈다.

한나라당 윤상현 대변인은 이날 발표한 논평에서 “한반도 평화의 길을 역주행하는 북한의 태도에 우려를 금치 못한다”며 “고압적인 자세로 우리 정부를 길들이려는 이런 태도는 올바른 남북관계 조성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윤 대변인은 “북한은 무엇이 미래와 발전에 도움이 되는지 진지하게 고민해보길 바란다. 우리는 항상 북한에 대해 대화의 문을 활짝 열어놓고 있다”고 말하며, 북한의 대화 호응을 거듭 촉구했다.

민주당 김유정 대변인도 이날 발표한 논평에서 “남북간 대화 협력은 어떤 일이 있어도 중단돼서는 안 된다는 점에서 매우 유감스러운 일”이라고 말했다.

김 대변인은 그러나 “정부의 대북 강경기조가 그 원인제공을 했음은 부인할 수 없다. 사태가 이렇게 악화된 데 대해 정부의 책임을 따지지 않을 수 없다”며 정부를 압박했다.

이어 “비록 북측의 이번 조치가 당장 남측 인원의 개성공단 등의 출입중단으로 이어질 것으로 보이지는 않지만 차후 정부의 대응에 따라 어떤 결과를 낳을 것인지는 자명하다”며 “더 이상 돌이킬 수 없는 상황이 전개되기 전에 남북화해협력을 위한 정부여당의 전향여당의 전향적인 자세를 촉구한다”고 덧붙였다.

자유선진당 박선영 대변인은 “우리 정부는 북한 군부의 호전적인 발언에 일희일비하지 말고 남북문제에 대한 원칙과 철학을 갖고 의연하게 대처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박 대변인은 “자국 국민은 굶주림에서 헤매고 있는데 허장성세로 큰소리만 친다고 심각한 식량사정이 호전되지는 않는다”며 “어설프게 상황을 오판해서 한반도의 평화정착과 북한의 핵폐기 문제를 지연시키지 않기만을 바란다”고 촉구했다.

이어 “북한은 어느 누구에게도 도움이 안 되는 ‘벼랑끝 전술’과 ‘살라미 전술’로는 얻는 것보다 잃는 것이 더 많다는 사실을 분명히 깨달아야 한다”며 “더구나 지금은 과거와 같은 ‘묻지마’ 대북지원을 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