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朴 경선룰 총력전…손학규 “들러리 안선다”

한나라당 경선준비위원회의가 내놓은 ‘7월-20만 명’과 ‘9월-23만 명’ 2개 중재안을 놓고 이 전 시장과 박 전 대표 측이 양보없는 대립 국면을 연출하고 있다. 누구도 물러서지 않겠다는 분위기다.

여기에 손학규 전 경기지사와 원희룡, 고진화 의원 등 나머지 주자들은 “양대 주자 중심의 경선 참여는 무의미하다”며 ‘경선불참’까지 고려해 당 경선이 자칫 파국의 시작이 될 수 있다는 우려까지 고개를 들고 있다.

‘7월-20만 명’안이란 당내 후보경선을 7월에 실시하고 경선에 참여하는 숫자를 총 20만명으로 한다는 의미이다.

이 전 시장과 박 전 대표는 겉으로 현행 당헌∙당규에서 규정하고 있는 ‘6월-4만 명’ 방식을 수용하고 있는 속내는 다르다. 이 전 시장은 7월 안을 지지하고, 박 전 대표는 9월 안에 무게를 두고 있다. 손 전 지사를 비롯한 비롯한 나머지 주자들은 경선 인원을 대폭 확대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현재 ‘9월-20만 명’ 속내를 보이는 박 전 대표 측은 지지율 부분에서 이 전 시장과 격차를 줄일 시간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겉으로는 ‘후보검증’을 위해서는 시간이 더 필요하다는 논리를 내세우고 있다.

다만, 이 전 시장 측과 협의가 되지 않을 경우 현재 당원 지지율에서 앞서고 있다고 판단에 따라 현행 규정도 받아들일 수 있다는 입장.

‘검증 논란’ 등에도 불구하고 지지율 1위를 굳건히 지키고 있는 이 전 시장 측은 빠른 시기에 경선을 치뤄 대세를 결정짓겠다는 입장이다. 시기를 무작정 늦출경우 ‘오히려 당의 분열만 부추길 뿐’이라고 강조한다. 다만, 후보간에 입장차이를 보이고 있기 때문에 7월까지는 양보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이 같은 대선주자간 마찰이 확대될 기미를 보이자 지도부는 긴급 진화에 나섰다.

강재섭 대표는 “경준위 중재안이 당론으로 확정되지 않은 상황에서 중재안에 대해 이러쿵 저러쿵 지나치게 비판하는 것은 바람직한 자세가 아니다”고 말했고, 김형오 원내대표도 “주자들이 국민이 아니라 자기를 보고 정치를 하는 것 같아 안타깝다”고 비판했다.

대선주자간 대립으로 인해 ‘경선룰’을 확정하지 못한 지도부는 일단 9일 완료된 경선준위원회 활동 시한을 오는 18일까지 연장해 여론조사 등을 통해 ‘경선룰’ 관련, 최종안을 마련하기로 결정했다. 하지만 이마저도 정병국 의원 등 일부 경준위원들이 불참을 선언, 난항이 예상된다.

박 전 대표는 12일 기자간담회를 통해 당내 경선 논의와 관련, “경준위가 당을 위한 것이 아닌 특정 주자 쪽에 치우치는 결과를 내놓았다”며 직접 유감을 표시했다. 박 전 대표 캠프도 “특히 ‘7월-20만 명’ 안은 아무런 명분이 없다”고 주장했다.

이 전 시장 측 박형준 의원은 “터무니없는 주장”이라며 “박 전 대표 측에서 그런 식으로 말하면 곤란하다”고 비판했다.

박 의원은 “7월-20만 명 중재안은 우리가 주장한 것도 아니고 이견을 절충하는 과정에서 나온 것”이라면서 “박 전 대표 측이 시기와 관련해 겉으론 6월을 주장하면서도 내심 9월을 고집하며 경선연기를 주장하는데 이는 당내 갈등만 더 깊게 할 뿐”이라고 지적했다.

손 전 경기지사 측은 “경준위 불참 및 경선 불참을 검토 중”이라며 “경준위가 이미 특정 주자 편에 서 있는 만큼 연기된다고 해도 나아질 것이 없다”고 말했다.

‘경선불참’을 선언한 원 의원은 이날 경남도청을 방문, “당내 대선 후보 경선 규정이 앞서가는 주자 위주이고 다른 주자를 배려하는 모습을 보이지 않을 경우 근본적이고 심각한 상황이 올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이어 “앞서가는 주자들은 문호를 개방하고 다양한 지지층을 묶어내는데 방관하고 있다”면서 “오만과 배타적인 모습으로 가고 있는 것에 대해 강력한 경고음을 보낼 필요가 있다”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