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명환 외교통상부 장관은 17일 6자회담 개최 시기에 대해 “날짜를 특정할 수는 없지만, 조만간 열리긴 열릴 것”이라고 전망했다.
유 장관은 이날 국회 외교통상통일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해 “왕자루이(王家瑞) 중국 공산당 대외연락부장의 방북과 김계관 북한 외무성 부상의 방중 등 여러 정황을 볼 때 (6자 회담이) 움직이는 것은 사실”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유 장관이 이같은 발언은 지난 11일 오카다 카츠야(岡田克也) 일본 외무대신과의 공동 기자회견에서 “중국과 북한의 접촉이 곧바로 6자회담 재개로 이뤄질지는 아직 예단하기 이르다”고 언급한 것보다는 진전된 것이다.
이에 따라 11일 전후해 중국을 방문했던 김계관 부상과 우다웨이(武大偉) 한반도 특별대표간 회담에서 6자회담 복귀 시점에 대한 의견 절충이 이뤄진 것 아니냐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유 장관은 그러나 김계관 부상의 방중 회담 결과를 통보 받았느냐는 질문에는 “회담 직후에 (중국이) 춘절 연휴에 들어가서 아직 중국으로부터 공식적으로 통보받은 바는 없다”며 구체적인 답변은 피했다.
북한이 평화협정 회담을 요구하고 있는데 대해서는 “한미간에 긴밀한 조율을 통해 북한이 6자회담에 조속히 복귀해서 비핵화 논의 진전이 있을때 평화협정 문제에 대해 논의를 할 수 있다는 입장이 정리됐다”고 설명했다.
평화협정의 주체는 “남북한이 주가 되고 미중이 보조를 하는 구도가 되야 한다는 것이 일관된 입장”이라며, 또한 “주한미군(철수 문제)은 한미양국의 문제이지 북한이 논의할 문제는 아니다”고 강조했다.
대북 제재 완화 문제도 “유엔 안보리 제재 결의 1874호에 의해 규정됐기 때문에 여기에 따라서 논의될 것”이라며 “여기에 북한을 빼 놓고 의의를 제기하는 국가는 없다. 이 문제는 5자간 협의하는데 큰 문제는 없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