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환 외교통상부 장관은 29일 “정부는 대화와 압박을 병행하는 투트랙 대북 접근을 일관되게 유지해 왔다”면서 “제재는 제재고 대화는 대화이기 때문에 북한의 행동에 따라 대화는 항상 열려 있다”고 밝혔다.
김 장관은 이날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이명박 대통령의 ‘6자회담을 통한 비핵화 실현 발언’이 대화재개 입장으로 선회한 것이 아니냐는 질문에 이같이 답하고 “정부는 그동안 북한과 대화하지 않겠다고 한 적이 없다”면서 “북한의 행동의 변화가 있으면 우리도 반응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동안 6자회담 재개를 위해선 북한의 핵 모라토리엄 선언과 핵 사찰단 복귀 등의 조건을 강조해온 상황에서 정부가 내년에는 대화를 통한 비핵화 실현을 언급해, 대화재개 방향으로 선회한 것이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김 장관은 “큰 틀에서 보면 (대북 접근에) 일관성이 있다”면서 “북의 반응이 있고 우리가 있는 것이기 때문에, 북핵 폐기의 진전도 북한의 동의와 반응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김 장관은 “내년 방향을 알 수 있는 북한의 신년사를 봐야겠지만 아직까지 북한이 변했다고 보기 어렵다”면서 “핵은 당사자들 문제라는 점에서 남북간 대화가 핵문제의 출발점이 되어야 하는 만큼 남북대화 재개는 북한의 변화가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이 대통령의 ‘2012년에 북한이 강성대국 연다고 한 만큼 내년에는 핵포기가 되어야 한다’는 발언에 대해 “내년중에는 핵폐기라는 진전이 이뤄져야 한다는 의미”라면서 “북한이 말하는 2012년 강성대국은 아무래도 북한 핵프로그램 추진과 관련이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6자회담 재개조건과 관련해 김 장관은 “정부로서는 6자회담을 재개하려면 여건조성이 필요하고 어떻게 하면 6자회담이 재개될 수 잇을 것인가에 대해 나름대로 복안을 갖고 북한을 제외한 나머지 국가들과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그는 “6자회담 재개조건에 합의가 이뤄지면 북한에 전달할 것”이라면서 “최근 사전에 아직 확정되지 않은 이야기가 미국 대변인 등을 통해 나오고 있는데, 아직 회담재개의 전제조건에 대해 5개 나라들이 완전히 합의하지 못한 상태”라고 말했다.
그는 최근 빌 리처드슨 미 멕시코 주지사의 방북결과와 관련해 “리처드슨 주지사와 북한과의 이야기는 정부 공식적 차원이 아니기 때문에 북한이 공식적인 채널을 통한 것이어야 받아드릴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향후 대중 외교와 관련, “중국을 어떻게 잘 협력관계를 강화해 나갈 것인가는 내년의 중요한 과제”라면서 “향후 중국과 외교를 하는데 대중 외교적 인프라를 갖추고 중국과의 고위급 인사들의 교류를 늘려 중국의 책임 있는 역할을 촉구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