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한중인 미측 6자회담 수석대표인 크리스토퍼 힐 국무부 동아태 담당 차관보는 16일 대북 비료지원과 관련, “인도적 차원의 지원이라는 점에서 필요한 곳에 적정하게 지원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힐 차관보는 이날 오전 서울 세종로 외교통상부 청사에서 송민순(宋旻淳) 외교부 차관보와 회동, “남북 차관급 회담을 통해 북한이 국제사회가 뭘 원하는 지 알게 되는 계기가 되기를 희망한다”며 이 같이 밝혔다.
그는 “미국은 남북간의 대화를 지지해왔으며 남북회담에서 일정한 진전이 있기를 바란다”며 “특히 북한이 이 대화를 통해 6자회담에 대한 확신을 갖는 한편 이런 남북관계 진전이 6자회담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날 한미 양국의 6자회담 수석대표간 회동에서는 모스크바 연쇄 정상회담을 계기로 열린 한.미.일.중.러 5개국 간 개별적인 양자회담 협의를 바탕으로 현재 실질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외교적 노력을 평가하고 향후 어떤 방향으로 나갈 지에 대한 의견이 집중 교환됐다.
특히 북핵 6자회담 재개는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한 수단인 만큼 목적 달성을 위해 재개시 실질적인 진전방안에 대해 논의가 이뤄졌으며 이날 개성에서 시작된 남북 차관급회담에 대한 논의도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다.
힐 차관보가 송 차관보에 이어 반기문(潘基文) 외교부 장관을 예방한 자리에서 “우리는 6자회담을 하기 위해 모든 것을 다하고 있지만 그 것이 다른 옵션으로 가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고 말한 것과 관련, 외교부 고위 당국자는 “모든 것을 다하고도 원래 취하려는 목적이 달성되지 않아 다른 선택을 할 수 밖에 없다면 그 것을 할 수 밖에 없다는 말로 지극히 상식적이고 논리적인 귀결”이라고 말했다.
이 당국자는 “이날 만남에서는 남북회담이 북핵문제 해결을 위한 6자회담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보고 기대한다는 것이 핵심”이라며 “남북회담과 현재 진행 중인 집중적인 외교노력의 결과를 본 뒤 분석평가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어 그는 스티븐 해들리 미 백악관 NSC 국가안보보좌관이 “북한이 핵실험을 준비하고 있을 지 모른다고 말하는 어떤 증거를 봤다”고 15일 발언한 것과 관련, “어떤 증거(some evidence)는 완전한 증거(full(convincing) evidence)로 가기 위한 기초로 이를 확증으로 연결시켜서는 안된다”며 “하나의 상황판단을 위한 많은 징후 목록 중 일부가 있을 수 있다는 것으로 이해해달라”고 말했다.
힐 차관보는 이어 정동영(鄭東泳) NSC(국가안전보장회의) 상임위원장 겸 통일부 장관을 예방, 남북회담을 지지한다는 입장을 전달하고 “한반도 비핵화가 모두의 목표이며 이런 목표가 이뤄졌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힐 차관보는 오후에는 청와대를 방문해 권진호(權鎭鎬) 국가안보보좌관, 이종석(李鍾奭) NSC 사무차장을 면담한 뒤 이날 오후 8시 호주로 향한다./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