힐 “北 플루토늄 외부반출이 최종목표”

크리스토퍼 힐 미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는 1일 북한으로부터 플루토늄을 확보, 외부로 반출하는 게 궁극적 목표라고 밝혔다.

6자회담 미국측 수석대표인 힐 차관보는 이날 워싱턴 소재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가 주최한 특별강연에서 북한의 핵신고서 제출과 관련, 핵신고서를 분석하고 검증방안을 고안해 철저히 검증하는 게 급선무라면서 이같이 말했다.

힐 차관보는 “북한은 신고한 핵프로그램 내역에 대한 검증에 있어 완전하게 협력키로 약속했다”고 했다. 또 “영변의 냉각탑 폭파에 대해 ‘매우 훌륭한 신호(a very good sign)’이며 ‘상징적인 가치’를 지니고 있지만 아직 해야 할 일이 많이 남아 있다”며 끝이 아니라 시작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북한의 플루토늄을 확보, 외부로 반출하는 게 최종 목표”라면서 “북한에 플루토늄이 남아 있다면 비핵화 된 게 아니다”라고 힐 차관보는 강조했다.

그러나 “현재로선 언제까지 북한 플루토늄을 외부로 반출할지 예측할 수는 없다”면서 “무엇보다도 우리는 북한이 신고한 것을 연구해서 어떻게 검증할 수 있는지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북핵 신고서에 대한) 검증이 모든 과정에서 가장 핵심”이라면서 “이번 주에는 검증방안을 마련하고, 가능한 한 빨리 검증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데 시간을 보낼 것”이라고 말했다.

북한 핵신고서에 기존 핵무기와 우라늄농축프로그램(UEP), 핵확산 관련 활동 등이 빠져 있어 ‘불완전한 신고’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는 것에 대해 “이것은 최종 단계가 아니다”며 “우리는 부분적인 비핵화에는 관심이 없고 완전한 비핵화로 나아갈 것”이라고 해명했다.

6자회담 재개 문제와 관련, 6자회담 의장국인 중국으로부터 일정통보를 기다리고 있는 중이라면서 6자 수석대표회담 일정이 아직까지 확정되지 않은 상태라고 밝혔다.

북한이 미국만을 상대하면서 한국을 배제하려는 이른바 ‘통미봉남’ 정책을 쓴다는 우려가 있다는 지적에 대해 “우리는 한국과의 관계가 중요하다는 사실을 (북한에) 분명히 해왔다”면서 “(북한과의) 양자 대화가 있을 때는 반드시 한국과 의견 조정을 거치고 한국과 일본에 가장 먼저 전화로 통보하는 등 투명성을 유지해왔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