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장엽 “후계자가 누구든 김정일과 같은 자”

황장엽 북한민주화위원회 위원장은 “김정일의 최근 행보는 지금도 김정일이 앓고 있다는 반증이며, 최근 노골화 되는 북한의 군사적 도발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고 보아야 한다”고 8일 말했다.

황 위원장은 이날 자유북한방송을 통해 송출된 ‘민주주의 강좌’를 통해 “김정일이 정상업무를 진행하고 있는 듯이 국내외 언론들에 선전하고, 자신의 건강을 과시하기 위해 이전보다 더 많은 현지시찰을 공개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특히 “이번에 (군사 도발 위협의) 도수가 조금 높아진 것은 지배권 확대 때문이라고 추측해 볼 수 있다”며 “북한의 모든 정책은 수령의 권위를 위해 수립되기 일쑤인데 김정일의 뇌졸중 사실이 주민들에게까지 알려지다 보니 이를 만회할 필요를 느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한 “북한의 군사적 도발행위가 미국과의 협상용이며 후계 문제를 확정 짓기 위해서라고 이야기하는 것은 억측”이라며 “김정일이 미국과의 직접적인 협상을 통해 자기의 권위를 높이려는 것은 전술이지 목적이 아니다. 목적은 역시 한반도 문제이며 남한으로부터의 미군철수 외에 다른 것은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지금 김정일이 제일 두려워 하는 것은 미국을 비롯한 국제사회와 남한 정권이 자신을 상대해 주지 않는 것”이라며 “이러한 국제사회와 남한 정권이 두려워 핵실험에 열중하는 등 새로운 권위에 도전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김정일은 자기의 생각을 중국이 지지해 주길 바랬지만 개혁개방의 길에 들어선 중국은 사상적 동맹관계만을 유지하면서 북한의 그 어떤 군사적 행동도 방관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고수했다”고 밝혔다.

“이러한 북-중 관계는 김정일에게 늘 고민거리였고, 그래서 택한 것이 남한에 대한 위협과 공갈행위”라며 “남한 국민들에게 전쟁공포증을 불러 일으키고, 자신들의 대남전략에 동조하게끔 만들자는 것이 과거에나 지금에나 북한 통치자들이 써먹고 있는 상투적 수법”이라고 지적했다.

이 외에도 “북한의 거듭되는 핵시험과 군사적 도발행위를 후계구도와 연계시키는 것도 바람직하지 않다”며 “북한 독재정권의 후계문제를 누가 간섭한 바 있는가. 내부에서건 외부에서건 김정일 후계문제는 논의의 대상 밖에 있음을 상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사람이 몇 백만 명 굶어 죽어도 끄떡하지 않는 김정일인데 세습제를 3번 하든, 4번 하든 마음대로 정한다고 보는 것이 옳다”며 “그게(후계자가) 누구든 김정일과 같은 자라고 보면 될 일을 가지고 세상이 들끓고 있다”고 우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