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우여 “北핵무기 대응 군사적 균형 찾아야”

황우여 새누리당 대표가 15일 북한의 3차 핵실험으로 인해 현재의 한반도 상황이 남북대화에 집중할 수 없게 됐다고 밝혔다.


황 대표는 이날 KBS 라디오 교섭단체 대표연설에서 “(3차 핵실험은) 남북 간의 한반도 비핵화 선언을 완전히 무시하는 심각한 도발 행위이고 동북아 평화와 번영에 심대한 위협을 가하는 만행”이라며 “대량 살상무기인 핵의 실체 앞에 우리가 오로지 대화에만 매달릴 수 없게 됐다”고 말했다.


이어 “이제 한반도의 군사적 균형이 무엇보다 중요하게 됐다”면서 “대화는 하더라도 북한이 오판하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한편에서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결의한 추가 제재를 통해 핵실험 재발을 막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우리도 비대칭무기인 핵무기에 대응체제를 갖추어 군사적 균형을 되찾아야한다”면서 “나아가 동북아에 바람직하지 않은 ‘핵도미노’ 같은 극단의 상황까지도 우리는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북한에 대해서도 “핵을 통해 정권유지도 소위 강성대국도 이룰 수 없고, 국제사회의 강력한 제재와 고립만을 자초한다는 것을 직시해야 한다”면서 “한민족의 공멸을 초래하는 핵 개발의 야욕을 접고, 국제사회의 책임 있는 일원이요, ‘정상국가’로 거듭나는 것만이 유일한 선택”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박근혜 정부가 제시한 신뢰프로세스를 결과적으로 거부함으로써 한반도 공동번영의 가교를 놓으려는, 우리의 바람을 저버리는 북한의 행동에 대해 심각한 유감을 표한다”고 덧붙였다.


황 대표는 북한의 도발에 대한 중국의 책임 있는 자세도 촉구했다.


그는 “지금 중국이 세계에서 유일하게 실지적인 북한의 지원자 노릇을 하는 만큼, 국제사회와 눈높이를 맞추어 신중하고 책임 있는 대북관계를 경지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어 “천안함 폭침과 연평도 포격 도발 당시 중국이 대북 제재에 미온적인 자세를 취하면서 실효를 거두지 못했다는 지적이 있었다”면서 “중국의 대승적인 결단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