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북한 평안북도 창성군에서 산불이 발생해 상당히 많은 면적이 잿더미로 변하는 등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고 소식통이 2일 전했다.
평안북도 소식통은 이날 데일리NK에 “6월 중순 창성군에서도 오지에 속하는 인상리 지역에서 산불이 발생해 상당히 많은 면적이 잿더미가 됐다”며 “창성은 산이 주민소득에 기여해 ‘황금산’이라는 이름이 붙여진 유명한 지역인데, 이번 화재 때문에 지역 주민들의 피해가 만만치 않다”고 말했다.
창성군은 압록강을 사이에 두고 중국 랴오닝(遼寧)성과 마주하고 있는 평안북도 북부에 위치한 군으로, 전체 면적의 90% 이상이 산지로 이뤄져 있다. 이에 이 지역 주민들은 산간지대의 특성에 맞게 산을 종합적으로 이용하는 임업과 산림업으로 소득을 얻어 경제활동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만큼 산림이 중요한 지역이라 국토관리기관에서는 감시체계를 구축해 산불을 미리 방지하려고 노력하고 있지만, 실상은 역부족이라는 게 소식통의 전언이다.
실제로 북한은 당국 차원에서도 김정은 국무위원장 집권 이후 이른바 ‘산림복구전투’라는 구호를 내세워 산림조성에 공을 들이고 있으며, 특히 실시간으로 산불 발생 사실을 파악할 수 있는 과학적 감시정보체계를 개발·구축하는 등 산불 예방에도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와 관련해 앞서 북한 매체 메아리는 지난 2월 국가과학원 지구환경정보연구소가 위성원격조사기술과 지리정보체계기술을 도입한 산불관리정보체계를 연구·개발했다고 전하면서 이를 통해 산불의 조기 진화를 실현할 수 있게 됐다고 선전한 바 있다.
그러나 이 같은 노력이 무색하게도 북한은 올해 가뭄과 건조한 날씨가 이어지는 자연적인 악조건 속에서 산불 피해를 막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를 보여주듯 노동신문은 지난달 4일 ‘산림보호사업에서 나서는 중요한 문제’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국토환경보호성 산림총국 최봉환 부국장을 내세워 “올해에는 비가 적게 내리고 바람이 자주 불면서 산림지대가 건조해져 산불이 쉽게 일어날 수 있는 조건이 조성되었다”며 “모두가 산불막이대책을 빈틈없이 세우는 것이 산림복구전투 승리를 담보하는 데서 중요한 문제의 하나라는 것을 명심하고 이 사업에 한사람 같이 떨쳐나서야 한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한편, 소식통에 따르면 북한 당국은 이번 화재 이후 산골짜기에 산림순시원을 고정배치해 산림감독원과 함께 산불감시를 하도록 하고, 중요 산림지구에는 군 산림경영소 종업원들로 산불감시역량을 보강하고 통신기재를 마련하는 등 후속 조치에 나섰다. 그러나 정작 주민들 사이에서는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격”이라는 지적이 제기됐다고 소식통은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