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폐개혁 당시 예금 50만원 8월부터 반환”

북한 당국이 지난해 11.30 화폐개혁 당시 주민들이 조선중앙은행에 예치한 금액 가운데 구화폐 50만원 한도 내에서 100:1로 교환해주겠다고 공고했다. 구화폐 50만원은 현재 새화폐 5천원에 불과해 당시 조선중앙은행에 돈을 예치했던 주민들의 반발이 만만치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북한 내부 소식통은 27일 “조선중앙은행이 8월 1일부터 화폐교환 조치 당시 개인들의 예금액을 100:1로 환산해 새화폐로 돌려준다고 발표했다”면서 “최대 원금 50만원까지 돌려줄 계획”이라고 전했다.


북한당국은 지난해 화폐개혁 당시 신·구화폐 교환비율을 1:100으로 정하고 세대당 15만원 한도에서만 새화폐를 교환해줬다. 그러면서 나머지 구화폐는 조선중앙은행에 예금토록 독려했다. 당시 북한 당국은 “예금된 돈은 반드시 돌려줄 것”이라고 약속했지만, 1992년 4차 화폐개혁 당시 은행에 예금한 돈을 몰수당했던 경험 때문에 실제 주민들의 참여는 많지 않았다.  


북한의 이번 조치는 화폐개혁 이후 개인 보유 자산이 급격히 줄어들면서 주민 생활 전반이 어려워진 것을 감안, 현금 지원을 통한 생활고 해소를 노린 것으로 보인다. 특히 주민들의 구매력 약화가 시장 불황으로 이어진 점을 고려해 통화량을 늘려 시장 활성화를 시도하는 것 아니냐는 추측도 뒤따른다. 오는 9월 44년만에 열리는 ‘노동당대표자회’를 앞두고 분위기를 띄우기 위한 ‘선심성 정책’이 아니냐는 의혹도 낳고 있다.


이에 대한 주민들 반응은 매우 냉소적인 것으로 전해진다. 소식통은 “이미 모든 물가가 화폐개혁 이전으로 돌아와 지금 쌀 1kg에 1,000원 하는 시대”라면서 “50만원을 저금했다가 5천원으로 돌려받으면 이제 쌀 5kg 밖에 사지 못하는데 무슨 의미가 있냐”고 말했다.


11.30 화폐개혁 직전 북한의 시장 쌀 가격은 2,000원(kg) 전후였다. 단순 계산상 당시 구화폐 50만원이면 쌀 250kg을 살 수 있었다. 하지만 7월말 현재 쌀 가격은 1,000원 전후다. 새화폐 5,000원이라고 해봐야 쌀 5kg 밖에 안된다.   


화폐개혁 직후 북한 당국이 공시한 ‘수매상점 쌀 공급 가격 24원(kg)’이 지금도 지켜지고 있다면 이런 조치가 의미를 가질 수 있지만, 이미 모든 물가가 50배 가량 상승한 조건에서 한마디로 ‘말장난’에 불과하다는 것이 주민들의 반응이다. 


특히 북한당국이 지난 2월 상업관리 분문에 “모든 물가를 화폐교환 조치 이전으로 환산, 국정가격을 다시 100배 올려라”는 지시를 내려 놓고도 정작 주민들의 예금에 대해서는 이를 적용하지 않는 것도 빈축거리가 되고 있다.


소식통은 “다른 물가는 모두 100배로 다시 올려 놓고 왜 백성들 예금만 작년 기준을 적용하는지 모르겠다”면서 “국가가 하는 말이 도무지 앞뒤가 맞지 않는다”고 말했다.  


한편, 평양시에 대한 식량 미공급 상황이 4개월 째 이어지면서 평양 외곽 주민들과 군부대 근무자(군무원) 가족들의 생활고가 심각해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평양시에서는 4월부터 중앙 기관 간부나 영예군인등 특수계층을 제외하고는 실제 식량배급이 미뤄지고 있다.


소식통은 “그나마 평양과 신의주가 식량 사정이 나은 편인데도 감자로 끼니를 잇거나 하루 2끼 먹는 세대가 늘고 있다”면서 “중앙에서는 ‘8월까지 자체 해결하라’는 지시만 내리먹이고 있기 때문에 지금은 개인들이 알아서 살아가는 형편”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