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홍준표 원내대표는 24일 향후 대북정책 기조와 관련, “내년부터는 남북관계에서 좀 더 폭넓고 유연성있게 대처해야 한다”고 말했다.
홍 원내대표는 KBS 라디오 ‘라디오 정보센터 이규원입니다’에 출연, “정부가 대북정책을 경직되게 수행한다는 여론이 있는 만큼 다소간 대북정책의 수정이 필요하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그는 “남북경협의 경우 좀 더 활성화됐으면 한다”면서 “내년부터는 캄차카반도에서 오는 가스송유관 문제와 개성공단 활성화 문제가 본격 논의되면서 남북관계가 다소간 풀리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남북관계 경색 원인에 대해서는 “이명박 정권이 진보정권 10년간 ‘대북 퍼주기’로 마음이 상한 한국 보수주의자들의 열광적 지지로 정권을 잡은 만큼 대북관계에서 보수 기조를 유지하지 않을 수 없었다”고 설명했다.
홍 원내대표는 직불금 부당 수령자 명단 제출을 거부하고 있는 정형근 건강보험공단 이사장에 대한 법적 조치 논란과 관련, “이는 건강보험법과 국회법이 서로 충돌하고 있기 때문으로 합리적 조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 행정안전부의 장관 능력 평가 실시에 대해 “이는 행정안전부에서 하는 연례행사로 들었다”면서 “물론 연말이나 내년 초에 개각이 있게 되면 개각 자료로도 충분히 쓰일 수 있다고 본다”고 했다.
그는 향후 개각 원칙과 관련, “개각을 할 경우 이명박 정부의 중요 보직은 추진력이 있고 소신이 있는 깨끗한 사람들이 포진해서 ‘이명박 개혁’을 밀고 나가야 한다”면서 ‘탕평인사’를 거듭 강조했다.
이재오 전 의원의 입각설에 대해서는 “이 전 의원은 지금 정치를 떠난 것이 아니고 미국에서 사실상 정치를 하고 있다”면서 “때가 되면 어떤 역할을 맡게 될 지는 대통령과 국민, 당원들이 전부 판단해야 할 문제”라고 지적했다.
홍 원내대표는 종합부동산세 개편 문제와 관련, “우리 당은 이미 과세기준 6억원으로 확정을 하고 세율과 1주택 장기보유자 세 감면은 야당과 협상에서 조정하면 된다”는 기존 입장을 되풀이했다./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