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핵실험을 계기로 국내에 핵실험을 탐지하는 시설과 장비가 크게 부족한 것으로 드러났다.
박영일 과기부 차관은 24일 북한 핵실험에 관한 기자 브리핑에서 “과기부는 환경방사능 감시에 주력했기 때문에 핵실험 탐지용 시설 및 장비는 부족하다”면서 “특히 핵실험 여부 판단에 사용되는 장비인 ’제논 특정장비’는 우리나라에 없다”고 말했다.
박 차관은 과기부가 북한의 핵실험 직후 “방사선 핵종이 검출되지 않았다”고 발표한 것은 “인체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방사능에 이상이 없다는 말”이라고 해명했다.
그는 특히 “과기부는 원전 사고 등 유사시에 환경방사능 문제에 주력했고 핵실험에 대한 대비는 부족한 것이 사실”이라고 말해 이미 오래전에 한반도의 위협으로 부상한 북한 핵문제에 관한 대책마련에 소홀했다는 점을 인정했다.
박 차관은 그러나 방사능 탐지와 방사능 방재능력과 관련, “우리의 방사능 탐지능력은 극미량의 방사성 세슘 검출능력 등에서 세계 수준”이라며 “우리가 개발한 방사능 방재 시스템은 국제원자력기구(IAEA) 회원국에서도 활용하는 등 국제사회에서도 인정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번 북한 핵실험에 맞춰 국내에 반입된 제논 측정장비는 스웨덴으로부터 임시로 도입된 것으로 북한의 핵실험 이전부터 국내 도입에 관해 협의를 진행하던 중 북한의 핵실험이 발생하자 반입을 최대한 서둘렀다고 박 차관은 설명했다.
그는 제논·크립톤 탐지 장비를 확보하기 위해 장비 구매를 위해 조사단이 3개국에 파견돼 있다고 덧붙였다./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