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찬 해군참모총장은 18일 ‘국방개혁 2020’에 따라 해병대 병력 4천여 명을 감축키로 한 것에 대해 “전면 재고하겠다”고 밝혔다.
김 총장은 이날 평택 2함대의 독도함에서 열린 국회 국방위원회의 해군본부와 해병대사령부에 대한 국감에서 ‘2만7천명의 해병대 병력을 2020년에 2만3천명으로 감축할 계획인데 전면 재검토해야 한다’는 의원들의 지적에 이 같이 답변했다.
그는 “작년 국방개혁안을 조정할 때 해병대의 건의를 받아들여 (감축계획은) 안보상황을 고려하면서 검토하자고 했다”며 “천안함 이후 2사단 병력을 서북도서로 증파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한나라당 김옥이 의원은 이날 “북한의 새로운 도발 유형으로 해안포 공격 가능성이 높은 상황에서 서해 NLL을 사수하고 있는 백령도와 연평도 해병대 병력을 감축하는 것은 이해하기 어렵다”면서 “천안함 사고로 증명되었듯이 서해상에서의 북한 도발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므로 해병대 병력 감축계획은 완전히 폐기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진삼 자유선진당 의원도 해병대 병력 감축계획에 대해 “한반도 유사시 각종 침투작전이나 상륙 작전 전개에 있어서 신속한 대응 전력으로서 운용되는 만큼, 오히려 해병대 병력을 확대시켜야한다”고 지적했다.
이 의원은 “계획에 따라 감축되는 병력의 약 65%가 백령부대와 연평부대, 제주부대 등 해병대 도서부대 병력이고 노후화된 해안포와 M계열 전차 등의 장비로 인하여 이미 전력 누수가 심각한 상황”이라며 “상당수의 해병대 장병들을 감축시킨다는 것은 서북도서를 포기한다는 것과 마찬가지”라고 우려했다.
김 총장은 ‘해군의 주적개념’과 관련해서는 “주적은 북한군, 북한정권, 노동당이라고 정신전력교재에 확실하게 명기해 전 장병에게 확실히 주지하고 있다”고 답변했다.
김 총장은 ‘독도함의 경항공모함 역할’ 부여와 관련, “독도함을 6개월간 개조하면 경항모로 (역할이) 가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독도함은 상륙기동헬기로 사용되는 UH-60 헬기의 이·착륙이 불가능한 실정이다.
김 총장은 ‘한국형구축함(KDX-Ⅱ.4천500t급)의 소말리아 파견에 따른 전력공백’을 지적하는 한나라당 김장수 의원의 질의에 대해 “소말리아에 1척이 나가면 3척의 전력 공백이 발생한다”면서 “장기간 작전이 된다면 전력(KDX-Ⅱ) 소요가 별도로 필요해 합참에 소요 제기해 국방부와 긴밀히 협의 중”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