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은 22일 제2차 남북정상회담 차기정부 연기 논란과 관련, “정상회담 자체는 반대하지 않지만 시기는 부적절하다”는 입장을 거듭 확인했다.
북핵문제 해결과 한반도 평화정착을 위한 정상회담은 쌍수를 들고 환영하지만 대선을 코 앞에 둔 시점에서 정략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정상회담은 반대한다는 입장을 분명히 한 것.
한나라당은 여기서 한 발짝 더 나아가 정상회담을 대선 이후로 연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을 연일 제기하고 있다. 한나라당의 주장이 “국정운영을 가로 막는 것”이라는 청와대의 비판에 대해서는 “청와대가 오히려 정상회담을 정략적으로 이용하고 있다”며 역공을 폈다.
지난 7월 `한반도 평화비전’을 발표하며 대북정책 기조를 한 클릭 좌(左)로 이동하고, 애초 이번 정상회담에도 `조건부 찬성’ 입장을 밝혔던 한나라당이 이처럼 강경기조로 선회한 것은 이번 정상회담이 아무래도 대선용이라는 의구심을 지울 수 없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특히 애초 이달 말 열릴 예정이던 정상회담이 수해복구를 이유로 10월 2-4일로 연기된 데는 우리 정부로부터 더 많은 것을 얻어내려는 북한의 의도와 정상회담을 대선에 이용하려는 범여권의 이해관계가 맞아 떨어진 결과라는 게 한나라당의 주장이다.
강재섭 대표는 이날 YTN `클로즈업’ 프로그램에 출연, “정상회담 연기가 우리에게 뭘 더 얻어내려는 것 아니냐는 걱정도 되고, 대통령이 핵문제에 별 기여도 못하면서 잡다한 합의를 많이 해와 6자회담에 지장을 초래해서는 안된다”면서 “굳이 하겠다면 대선후 대통령 당선자와 조율해서 퇴임 전에 해도 되지 않느냐”고 지적했다.
그는 전날 최고위원회의에서도 “남북정상회담 연기는 바람직하지 않다”면서 “한나라당의 입장은 가능하면 대통령 선거가 끝난 뒤 차기 정권에서 (정상회담을) 했으면 좋겠다는 것”이라고 밝혔다.
나경원 대변인은 이날 현안 브리핑에서 “청와대가 남북정상회담에 대한 우리의 우려를 침소봉대하고 있다”면서 “정상회담에 관한 한 우리의 입장은 `정상회담에 반대하지 않지만 북핵 문제가 의제로 포함돼야 한다’는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또 “청와대가 강 대표의 발언을 문제 삼는데 정상회담이 그렇게 급하면 지금이라도 제3의 장소에서 하는 게 맞고 급하지 않다면 보다 실효성 있는 회담을 위해 차기 정부가 하는 게 오히려 국민의 오해를 받지 않는 것 아니냐는 게 우리의 입장”이라면서 “청와대가 이명박(李明博) 후보의 대북관에 대해 서도 `사적’ 이익을 추구하는 기업가 정신 운운하는데 이런 식으로 침소봉대하고 과민반응을 보이는 것이야 말로 정상회담의 정략적 이용을 자인한 것이다. `도둑이 제발 저린 꼴’이다”고 비판했다.
이 후보는 당론과 거의 비슷한 스탠스를 취하고 있다. 의제와 절차의 투명성이 확보되고 정략적으로 이용되지 않는다면 정상회담 개최를 굳이 반대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는 것.
그는 이날 자신의 집무실 안국포럼에서 자신의 저서 ‘청계천은 미래로 흐른다’를 일본어로 번역, 발간한 야라 도모다케(屋良 朝建) 후지TV 프로듀서를 만나 “정상회담이 대선에 영향을 끼칠 만한 일을 해서는 안 되고 그럴 경우 국민적 저항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며 “대선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내다봤다.
그는 앞서 청와대가 정상회담 개최를 발표한 지난 8일 대전에서 열린 당 대선후보 합동연설회에서 “시기와 장소가 적절치 않다고 생각하지만 핵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북한을 개방할 수 있도록 한다면 반대하지 않겠다”면서 “치졸하게 남북정상회담을 이번 대선에 정치적으로 이용할 꾀를 쓰면 안 된다”는 전제를 분명히 했다.
조해진 공보특보는 “이 전 시장의 기본적인 입장은 정상회담 자체에 대해서는 반대하지 않는다는 것”이라며 “그러나 중요한 것은 북핵문제, 납북자송환 등의 현안이 다뤄줘야 하고 정치적으로 이용되지 않아야 한다는 것으로, 이는 한나라당의 당론과도 같은 것”이라고 설명했다./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