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국군포로 탈북자 강제북송 비판

한나라당은 28일 국군포로 탈북자 한만택(72)씨가 중국 지린(吉林)성 옌지(延吉)시에서 중국 당국에 의해 강제로 북송된 것과 관련,“결코 좌시할 수 없는 일”이라면서 중국 당국을 강력히 성토했다.

특히 한나라당은 이번 사건을 막지 못한 외교당국에도 책임이 있다고 주장하면서 외교라인의 문책을 요구하기도 했다.

김덕룡(金德龍) 원내대표는 이날 주요당직자회의에서 “국군포로 강제 북송은 외교관례를 깨고 한국을 무시한 행태로 좌시할 수 없다”면서 “한나라당 의원들의 기자회견을 폭력으로 제지한 때와 같이, 우리 외교부가 또 미온적으로 나가서는 안되며중국의 비인도적 정책, 고압적 외교자세를 바로잡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고 촉구했다.

박세일(朴世逸) 정책위의장도 “(중국 정부가) 인권을 정면으로 부정한 것은 규탄해야 한다”면서 “북한에서 일어나는 인권문제, 중국에서 일어나는 인권유린에 대해 정부가 안일하게 소극적인 태도를 취하는 것은 대단히 잘못”이라고 지적했다.

박 정책위의장은 이어 “자국민도 못지키는 정부가 무슨 존재 의미가 있는가”라고 반문하며 “국민이 납득할만한 조치를 취하고, 장관과 담당자들은 책임을 져야 한다”고 말했다.

전여옥(田麗玉) 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중국에 굴욕적 자세로 재발방지 운운할것이 아니라 외교부 잘못부터 짚고 주중 대사관도 책임을 물어야 한다”면서 “정동영통일부장관은 국군포로 송환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약속했지만 이는 어설픈 ‘레토릭’이고 방송인 시절의 순발력에 불과했다”고 주장했다.

이달 초 중국 베이징(北京)에서 탈북자 관련 기자회견을 하려다 중국 당국에 의해 제지당했던 김문수(金文洙) 의원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이번 사건을 계기로중국의 선처만을 바라는 ‘조용한 외교’에서 벗어나 탈북난민과 국군포로 문제를 양국간 본격적 외교사안으로 격상시켜 공론화해야 한다”고 촉구했다./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