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정보당국 “北 우라늄농축 증거포착 안돼”

북한이 지난달 13일 ‘우라늄 농축작업 착수’를 주장함에 따라 한·미 정보당국이 감시에 들어갔지만 아직까지 증거가 포착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한·미 정보당국은 농축시설로 의심되는 영변과 평북 천마산 등 북한지역 여러 곳을 정밀감시 중이다.

정보 당국의 한 소식통은 8일 “지난달 13일 우라늄 농축작업에 착수한다는 북한 외무성 발표 이후 우라늄 농축시설로 의심되는 여러 곳을 정밀 감시하고 있지만 아직 증거가 포착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고 연합뉴스가 보도했다.

이 소식통은 “만약 북한이 농축을 시작했다고 하더라도 북한지역에 워낙 많은 지하시설이 구축되어 있어 증거를 쉽게 확보하기 어려운 측면도 있다”며 “그러나 농축작업에 착수했다면 그 증거를 어느 정도 확보할 수 있다는 게 한·미 정보당국의 일치된 평가”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주한미군의 고위 관계자는 지난 2일 국회 국방위원회 보좌진을 초청한 자리에서 “북한의 우라늄 농축 주장은 불확실한 것이 많다”면서도 “많은 지하시설이 구축되어 있어 증거를 아직 포착하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그러나 북한이 농축작업에 착수한다면 한·미는 그 증거를 찾아낼 수 있을 것”이라며 “북한 지역내 의심시설 여러 곳을 주시하고 있다”고 강조한 것으로 전해졌다.

핵전문가들은 북한이 농축작업에 착수한다고 주장한 지 25일이 되도록 증거가 포착되지 않은 것은 지하 소규모 시설에서 작업이 이뤄지고 있거나 아직 농축 작업을 개시하지 않았기 때문이라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이상희 국방장관도 지난달 30일 국회 국방위에 출석 “추진하고 있는 것은 분명한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전제한 뒤 “우라늄 농축은 180∼300평의 좁은 공간에서 할 수 있고 플루토늄 재처리 시설과 달리 은폐하기 쉽다”고 말했다.

앞서 북한은 지난달 13일 외무성 성명을 통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결의 1874호에 강력히 반발하며 “우라늄 농축작업에 착수한다”며 “자체의 경수로 건설이 결정된데 따라 핵연료 보장을 위한 우라늄 농축 기술개발이 성과적으로 진행돼 시험단계에 들어섰다”고 밝힌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