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나라당이 21일 전국위원회를 통해 경선 룰을 확정하고 공정경선을 다짐했다.
‘경선 룰’ 공방에 이은 ‘후보 검증’ 문제로 치열하게 대립했던 이명박 전 서울시장과 박근혜 전 대표도 이날만큼은 ‘선의의 경쟁’을 약속했다.
이명박-박근혜 두 대선주자의 세 대결은 공정경선을 다짐하는 장에서도 불꽃이 튀었다. 당의 화합과 단결을 한 목소리로 강조하면서도, ‘검증’과 관련해서는 창과 방패의 대결이 이어졌다. 이날 전국위는 치열한 경합 구도에서도 당심에서 미묘한 변화가 감지됐다.
송인국 울산시 동구 당원협의회 위원장은 “과거의 법적, 도덕적 문제가 대선 후보의 판단 기준이 되는 것 보다는 미래의 경쟁력을 보고 뽑아야 한다”며 “검증은 하되 검증 자체에 매몰되어서는 안 된다. 상생과 정책이 검증되는 것이 긍정적”이라고 말해 이 전 시장을 두둔했다.
반면, 경기도 소속 한 전국위원은 “법과 도덕에 어긋나지 않는 선에서 검증은 당연하다”며 “경선이 그들만의 잔치, 싸움으로 끝나는 것은 지양해야 하지만 경쟁 대상자와 당사자를 볼 때 자신의 인생에 부끄럽지 않도록 충분한 검증이 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전체적인 분위기는 이 전 시장의 우세였다. 연설과정에서도 박 전 대표는 3번, 이 전 시장은 6번 박수가 터져나왔다. 행사장을 빠져나갈 때도 지지자로 보이는 전국위원들의 수에 상당한 차이가 보였다.
한 초선의원은 “지난번 전국위원회에서는 박 전 대표의 연설에 더 많은 박수가 터졌는데 오늘은 그렇지 않다”며 “당심이 변한 것 같다”고 말했다.
대전의 한 전국위원은 “경선 승복은 ‘이 전 시장의 결정이었다’는 여론이 당과 지역에서 확산되고 있다”면서 “여론조사 지지율이 월등한 이 전 시장에 대한 당원들의 지지율이 갈수록 높아지면서 이명박 대세론이 확산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날 이명박-박근혜 두 주자간 경선에 대한 입장차는 여전했다. 박 전 대표는 이날도 “경선을 통해 철저한 사전 검증이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반면, 이 전 시장은 ‘검증 공방’에서 한 발 물러나 ‘범여권과의 경쟁’에 초점을 맞췄다. ‘경선 룰 양보’를 통해 ‘통큰 후보’라는 이미지가 확산되면서 ‘당심’ 획득에 상당한 성과를 보인 만큼, 박 전 대표와의 차별성을 더욱 강조하겠다는 의지로 해석된다.
박 전 대표는 “우리 스스로 깨끗하고 정정당당하지 않으면 어떻게 될 것인가”라고 반문하며 “저부터 앞장서서 ‘약속과 원칙’을 지켜 정정당당하고 치열한 검증으로 아름다운 경선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 전 시장은 “적들이 지금은 분열로 흩어져 있지만 정치 공학에 능숙하고 정권 찬탈 기술도 탁월하다”며 “범여권이 명석한 정치공학을 가지고 이번 대선에 임하더라도 국민의 절대적 지지를 가지고 대선에서 승리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도 두 대선주자는 서로 “분열은 없다”며 “경선 이후 대선후보가 결정되면 정권교체를 위해 힘을 싣겠다”고 한 목소리를 냈다. 이는 대립과 분열의 모습은 경선과정에서 자칫 ‘당심’ 이탈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한편, 21일 전국위원회의 ‘공정경선 결의대회’와 ‘8월-23만명’이라는 경선 룰 확정에도 불구하고, 경선 룰 각론과 후보 검증을 둘러싼 양측의 갈등은 불가피해 보인다.
특히 23일 경선관리위원회와 28일로 예상되는 검증위원회가 갈등의 축이 될 수 있다. 경선관리위가 정할 당원선거인단 선출기준과 관련해 이 전 시장 은 일반당원의 참여를 강화해야 한다는 입장이나, 박 전 대표측은 충성도가 높은 책임당원의 역할론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여론조사기관 선정을 둘러싸고도 이 전 시장측은 학계보다는 여론조사전문기관에 일임해야 한다는 입장인 반면, 박 전 대표측은 학계에 무게 중심을 싣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