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날 노무현 대통령이 기자간담회를 통해 ‘대통령 4년 연임제 개헌’ 제안을 포기할 생각이 없음을 분명히 밝혔지만 한나라당은 “이 싸움판에 절대 끼어들지 않겠다”며 ‘무대응’ 입장을 재확인했다.
한나라당은 “노 대통령은 개헌의 책임자가 아니다”고 전면으로 맞서며 국정운영에 전념할 것을 거듭 촉구했다.
김형오 원내대표는 전날 노 대통령이 기자간담회에서 한나라당을 집중 성토한 것과 관련, “노 대통령이 어제 공중파를 이용해 여러 억지 말을 값싸게 했다”고 비판한 뒤 “노 대통령은 개헌을 할 적임자가 아니다”고 못박았다.
김 원내대표는 “지금은 개헌 시기도 아니고 개헌 내용도 그런 식으로 돼서는 안 된다”며 “우리는 노 대통령이 벌이고자 하는 싸움판에 결코 말려들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유기준 대변인도 현안 브리핑에서 “아무리 유명한 배우가 ‘깜짝 쇼’를 벌인다 해도 관객들이 외면하면 막을 내리는 게 최소한의 예의고 도리”라며 “오지 않는 관객을 원망하거나 ‘배우를 그만두겠다’고 협박해서는 안 된다. 노 대통령의 ‘개헌 잔치’는 이제 끝났다”고 말했다.
반면 열린당은 “개헌 추진이 모종의 정략에서 출발한 것이라는 의심은 거둘 수 있게 됐다”며 한나라당의 개헌 논의 동참을 촉구했다.
김근태 열린당 의장은 “대통령이 임기 중단을 비롯한 정략적이라는 오해를 사는 시도를 하지 않겠다는 약속을 해 불확실성이 제거된 만큼 개헌문제는 그 자체로 접근하면 된다”고 주장했다.
한나라당 대선주자와 역대 대표들이 4년 중임제를 주장해온 사실을 열거하면서, “이제 와서 개헌 정색하고 반대하는 것은 자기모순이고 부정이다”고 했다.
이어 “개헌 논쟁 발생하면 당장 정국이 흔들리지 않을까 우려할 수 있다는 것에 이해한다”면서 “이 문제가 정략적인 것으로 변질되면 우리당이 앞장서서 반대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한길 원내대표는 “헌법개정안 발의권 행사하겠다는 데에 함구령 무대응으로 일관하는 한나라당은 초헌법적인 발상이고 그것은 참 나쁜 발상”이라고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