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노이 북미 정상회담이 빈손으로 마무리되고 한 달 가량이 지난 현재 북한 내부 공장기업소 등 생산 단위와 시장에서 특별한 이상 징후는 크게 발견되지 않고 있다.
지난해 식량 작황 부진에도 3월 말 시장 쌀값은 1kg당 4000원대로 하락세이고, 환율도 1달러에 8000원대로 연 초에 비해 약세를 보였다.
다만 제재로 인해 광산 분야와 무역업자들의 고통은 현재 진행형이다. 함경북도 무산광산은 철광석 생산량을 내수로 돌리거나 밀수에 의존하고 있다. 상당수 무역기지는 개점휴업 상태고, 직원 월급 주기도 어렵다. 원유 공급이 원활하지 못하다 보니 석유 제품의 가격 등락이 심한 편이다.
시장 상황에 따라 하노이 회담 반응에는 온도 차이가 존재한다. 소식통들은 무역업자들을 중심으로 불안감이 상존하고, 주민들은 미제 탓이라며 자존심을 앞세우는 편이라고 전한다.
여론엔 큰 변화가 없는데 주민들이 아는 게 별로 없기 때문이라고 소식통들은 전했다. 북한은 하노이 회담 이전부터 10일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선거에 즈음해 국경과 사회통제를 강화했다.
북한 노동신문이 지난달 8일 논평에서 “2차 조미수뇌(북미정상) 회담에서 좋은 결실이 맺어지길 바랬지만, 뜻밖에도 합의문 없이 끝났다”고 짧게 언급하며 그 책임을 미국과 일본에 돌렸다.
노동신문 보도 이후로는 북한 내부 회의나 강연회에서도 북미회담 결렬에 대한 별다른 언급이 나오지 않았다. 회담 합의를 기대하는 조건에서 바로 대미 비난 논조를 전면에 내세우기 어렵고, 미국과 협상의 끈을 유지하려는 김 위원장의 의도가 반영됐을 수 있다. 다만 최근 일부 지역에서는 회담 결렬을 간략히 언급하고 대미 비난을 강화하는 정황이 포착되기도 했다.
소식통이 파악한 북한 주민들의 의견은 처지에 따라 상반된다. 평안북도 신의주에서 내각 무역기지에 종사하는 한 일꾼은 1일 데일리NK에 “석유 제품이나 발전설비 같은 기계부품도 막히니까 무역회사들의 외화벌이가 한계가 있다”면서 “날마다 무엇으로 계획을 채울지 머리가 복잡하다”고 말했다.
그는 “그동안 거래한 품목들이 제재에 저촉된다면서 중국 대방들이 몸을 사리고, 우리 물건도 각종 구실을 대며 값을 깎기가 일쑤이기 때문에 액상 채우기가 어렵다. 거래에서 큰 소리는 중국 대방이 치지만 어쩔 수 없다. 서로가 돈이 되는 물건을 찾는 것이 과제”라고 말했다.
평안남도 평성에서 아파트를 건설해 팔고 있는 한 돈주는 “국가기관 종사자들은 자력갱생, 시련 극복을 강조하지만 조금만 속을 들어보면 ‘제재가 풀리지 않으면 살기 어려워진다’고 말한다. 돈 되는 아파트 내부에 들어가는 장식 재료도 구해오기 쉽지 않다”고 말했다.
그러나 일반 주민들 분위기는 이들보다 진취적이다. 양강도 혜산 장마당에서 잔뼈가 굶은 한 상인은 “경제적으로, 사상적으로 정돈이 잘 되어 있지 않나. 봉새를 하면 우리가 나눠 먹으면서 더 강해진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소식통은 “간부들이 ‘트럼프 대통령 책임’이라는 말을 하고 다니니까 주민들도 그렇게 믿는 것”이라며 당국의 다분히 의도된 여론 조성 결과로 분석했다.
소식통은 “주민들은 경제봉쇄가 풀리면 무엇이 좋아질지 아직 생각이 없다. 다만, 우리가 살기 어려운 것이 봉쇄 때문이라고 했으니까 ‘봉쇄가 풀리면 잘 살 수 있겠지’라는 막연한 생각을 하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