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력’ 전대 민주당, 민노-진보신당式 결별 수순 밟나?

손학규 대표는 12일 최고위원회의에서 “마침내 야권통합의 깃발이 올랐다”며 야권통합 결의안 처리 과정이 문제될 게 없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통합을 강하게 반대했던 박지원 전(前) 원내대표도 “의결정족수에 대해 문제가 있지만 법적 대응은 하지 않는다”며 “전당대회 결정을 따르겠다”고 밝혔다.


전날 야권통합 결의안 처리를 위해 소집된 민주당 전당대회에서는 전체 대의원 1만562명의 과반(5282명)을 조금 넘는 5820명이 참석해 찬성 4427명, 반대 640명으로 결의안을 가결 처리했다.


그러나 통합 반대파 측에서 표결 참석자가 5067명에 불과, 의결 정족수 성립이 되지 않는다면서 반발했고, 이 과정에서 찬성파와 반대파 대의원들 간 ‘욕설’이 오가고 급기야 상대에게 의자를 내던지는 등 ‘집단 패싸움’으로 번졌다.


우여곡절을 겪으며 반쪽 대의원만을 안고 출발하게 된 민주당 지도부와 시민통합당은 15일께 수임기관 합동회의를 소집해 통합정당 명칭과 지도부 선출 규정, 당헌·당규 제정 등 세부 절차를 논의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내년 1월 초 시민통합당, 한국노총과 야권통합 정당 전당대회를 개최해 통합정당 지도부를 선출할 예정이다.


이로써 야권은 민주당, 시민통합당, 한국노총 등이 주축인 가칭 ‘통합민주당’과 민노당·국민참여당·진보신당 탈당파가 통합한 ‘통합진보당’의 양당 구도 속에 내년 총선과 대선을 앞두고 치열한 주도권 싸움을 벌일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민주당 내 통합 반대파 측에서 법원에 전당대회 무효 가처분 신청을 내겠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어서 당분간 법정 공방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법원이 통합 반대파의 가처분 신청을 받아들일 경우, 야권통합 계획 전체가 물거품이 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 경우 진보신당이 진보정당 통합과정에서 겪었던 것처럼 통합 찬성파와 반대파가 갈라서게 되는 최악의 상황도 배제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