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7일과 28일로 예정된 2차 북미 정상회담 장소가 베트남 하노이로 결정됐습니다.
베트남 하노이는 개혁개방 정책인 ‘도이머이’의 심장부이며, 미국과 적대관계를 청산하고 경제 협력관계를 시작한 역사적인 장소이기도 합니다.
베트남 하노이는 변화와 혁신을 선택한 나라가 무엇을 얻을 수 있으며, 고립노선을 버리고, 적대관계를 극복한 나라가 어떻게 발전할 수 있는 지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도시입니다.
1975년 4월 베트남이 공산화한 이후 미국과 베트남 관계는 단절되었습니다. 미국은 베트남에 대한 경제 제재 조치를 실시하였습니다.
적대관계에 있던 두 나라 관계에 15년 후 변화가 찾아왔습니다. 1989년 베트남 정부가 캄보디아 주둔군을 철수하고, 옛 남베트남 정치범의 미국 정착을 허용하며, 베트남전쟁에서 실종된 미군 문제를 해결하는 데 협조하였습니다. 베트남 정부가 변화와 개혁을 선택한 것입니다.
1991년 미국은 경제 제재를 완화하기 시작하더니, 1994년 2월에는 경제 제재를 완전히 해제했습니다. 1995년 7월에는 베트남에 대한 국교 정상화 성명을 발표합니다. 2000년 7월 베트남과 미국 사이에 무역협정이 체결되고 2000년 11월 빌 클린턴(Bill Clinton) 대통령이 베트남을 방문하여, 양국은 과거사를 극복하고 미래 지향적인 협력 관계를 구축할 것을 약속하였습니다.
국교정상화 성명이 발표된 후, 4억5천만 달러에 불과하던 미국과 베트남의 무역 규모는 20여년이 흐른 2016년 520억 달러로 늘었습니다. 100배가 넘게 증가한 것입니다. 1995년 275달러이던 1인당 소득은 2018년 2,589달러로 약 10배가 늘었습니다.
지난 6일, 스티븐 비건 미국 대북정책특별대표가 평양을 방문해 북미정상회담 실무협상에 참가한 후, 10일 미국으로 돌아갔습니다. 비건 대표는 “해결해야 할 난제들이 있다. 협상이 아니라 입장 타진이었다”는 말로 협상 결과를 평가했습니다. 2차 북미정상회담을 앞둔 미국과 북한 사이에 좁혀야할 입장 차이가 적지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 김정은 정권이 아직도 핵에 대한 미련을 버리지 못한 것으로 보입니다.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은 지난 여름 하노이를 방문해 이런 이야기를 했습니다. ‘미국과 베트남이 전쟁이 아니라 협력하고 있다는 사실은, 어떤 나라가 미국과 함께 하면서 더 밝은 미래를 창조하기로 결정하면, 미국은 약속을 지킨다는 것을 보여주는 증거다’, ‘베트남의 기적은 북한과 김정은 위원장의 기적이 될 수도 있다.’
북한은 지금 중대한 갈림길에 서 있습니다. 핵을 보유한 채, 고립과 자멸의 길을 갈 수도 있고, 핵을 포기하고, 평화와 협력을 바탕으로 비약적인 경제발전의 길을 갈 수도 있습니다. 미국을 비롯한 국제사회를 믿고 핵을 깨끗히 버리고 평화와 협력의 길로 나아가는 것이 인민의 행복과 국가의 발전을 실현할 수 있는 유일한 길임을 명심해야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