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주 무인항공기 사진 北에 전송됐나?…”軍, 전송 안돼”

지난달 24, 31일 파주와 백령도에서 떨어진 무인항공기가 북한이 제작한 것으로 확인되면서 파주 무인항공기가 촬영한 청와대 사진 등이 북한에 전송된 것 아니냐는 주장이 나오자 군 당국은 전혀 사실이 아님을 확인했다. 


군 당국의 조사결과 파주에서 발견된 무인항공기 기체에서 일제 캐논 디지털일안반사식(DSLR) 카메라와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이 탑재됐다. 이 때문에 일각에선 무인기에 장착된 카메라로 청와대 등 서울과 경기 북부 상공에서 촬영된 사진 193장이 북한에 넘어갔을 가능성도 나왔다.


이에 대해 우리 군 당국은 무인 항공기에 송수신기가 장착돼 있기는 하지만 영상전송 용도가 아닌 조종이나 GPS 정보를 송수신하는 용도에 불과하다며 북에 전송됐을 가능성은 낮다고 밝혔다.


김민석 국방부 대변인은 3일 정례브리핑에서 “북한에서 발진한 것으로 보이는 무인기가 찍은 영상, 특히 서울을 찍은 영상 등이 북한으로 송신된 것은 전혀 아니다”면서 “결정적인 것은 송수신기와 카메라를 연결하는 케이블이 없어 사진을 찍더라도 영상을 보낼 수가 없었다”고 밝혔다.


김 대변인은 “무인기를 분석했는데 0.9㎓짜리 송수신장치가 있었으나 그것은 영상을 보내는 것이 아니고 무인기를 조정하거나 GPS를 받는데 활용되는 것”이라며 “카메라에서 사진을 찍더라도 그 영상을 보낼 수는 없다”고 설명했다.


군 당국의 조사 결과 추락한 무인 항공기의 송신장치는 안테나 길이 15㎝ 정도로 2.4㎓ 주파수를 사용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김 대변인은 무인기에 장착된 일본제 카메라의 성능에 대해 “인터넷에서 살 수 있는 것으로 렌즈도 최초 살 때 기본사양이었다”고 했고, 파주 무인기에 국내에는 없는 지문이 있다는 한 언론의 보도에 대해선 “우리 국민의 지문이 아닌 것을 몇 개 확인했다”고 말했다.


한편 정부는 지난 2일 청와대에서 긴급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회를 열어 북한의 무인 항공기 활용에 대한 대책을 논의했고 군 당국은 낮은 고도로 나는 비행체를 포착하기 위한 저고도 탐지레이더를 국외에서 긴급히 도입하는 방안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