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진당 ‘인천·울산연합’, 당권파와 타협안 만들까?

통합진보당이 12일 중앙위원회를 열고 4.11총선 비례대표 경선 부정선거에 따른 ‘비례대표(14명) 후보 총사퇴’ 권고안에 대한 찬반 여부를 결정한다. 


이정희 공동대표를 포함한 당권파는 중앙위에서도 부정선거 결과 보고서 불인정 및 폐기를 고집할 것으로 보여 비당권파와 충돌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10일 열린 운영위에서 ‘비대위 구성안’을 놓고 당권파와 비당권파간의 신경전은 여전했다.     


지난 5일 운영위에서 ‘당대표와 순위 경쟁 비례대표 사퇴 권고안’이 통과된 것은 NL(민족해방)계열 비주류인 ‘인천·울산연합’이 비당권파의 쇄신안에 손을 들어줬기 때문에 가능했다. 인천·울산연합이 부정선거에 대한 당권파들의 책임회피 태도에 비판적인 만큼 이번 중앙위서도 사퇴 권고안에 찬성할 가능성이 높다.


중앙위원회 지분도 운영위처럼 민노당 계열 55%, 국민참여당이 30%, 진보신당 탈당파 15%로 구성되기 때문에 민노당 계열에 포함된 인천·울산연합이 캐스팅 보트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이 때문에 당권파가 중앙위를 보이콧하거나 행사진행을 물리적으로 방해할 가능성도 있다.


비당권파의 쇄신안에 찬성 입장을 보인 당권파 비주류의 한 관계자는 데일리NK에 “인천·울산연합이 지난번 운영위에서 결정한 당대표와 순위 경쟁 비례대표 사퇴안에 동의했고, 당중앙위 안건으로 올라가더라도 그 입장에는 변함이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중앙위원 분위기는 여전히 들끓고 있다. 비대위 구성이 관건인데, 저쪽(당권파)에서 비대위 구성안을 받아들이는 것은 부정선거를 인정하는 결과이기 때문에 수용할 가능성은 낮다”며 “그렇게 될 경우 충돌은 불가피해 보인다”고 예측했다.


반면 일각에선 당권파인 ‘경기동부연합’이 쇄신안을 받아들이는 전제로 ‘인천·울산연합’이 당권은 민노당 계열이 유지하도록 하는 타협안을 낼 수 있다고 보고 있다. 경선 비례대표 후보 사퇴와 당권을 보장한다는 타협을 이룰 수 있는 것이다. 


구 민노당의 한 핵심 관계자는 “인천·울산 연합이 비당권파를 계속 지지할 경우 범NL계에서 소외될 수 있고, 그렇게 되면 홀로서기를 해야 한다는 불안감 때문에 일정 부분 합의점을 찾으려고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