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진당 “北核·인권·3대세습 등 비판할 것은 할 것”

박원석 통합진보당 새로나기 특별위원장이 25일 북핵·북한인권 등 북한 문제에 대한 비판을 통진당이 해오지 않은 것과 관련 “앞으로 비판할 것은 비판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통진당 부정선거 파문으로 북한에 대해 비판하지 않는 종북성향에 대한 사회적 비판이 거세진 것에 따른 입장인 것으로 보인다.


박 위원장은 이날 평화방송 라디오 ‘열린세상. 오늘! 서종빈입니다’에 출연해 “어느 나라의 진보세력이든 핵의 이용을 반대하는 것이 기본 입장”이라면서 “북핵문제도 진보의 기본 입장에 근거해 비판해야 통진당은 더 이상 오해를 사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북핵·북한인권 등 북한 문제들은 국제사회에 공론화 돼 있고 또 우리 국민들이 보편적인 인식을 갖고 있다”면서 “정부까지 확인한 (북한) 문제들에 대해서까지 ‘우린 말할 수 없다’는 태도는 온당치 않다고 본다”고 덧붙였다.


종북주의와 관련해선 “한 개인이 갖고 있는 이념과 사상에 대해서는 존중돼야 한다는 것이 기본 입장”이라면서도 “공당, 공직자로서 국민들이 의문을 갖고 있는 사안에 대해서는 분명하게 입장을 표현해야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현재 통진당 내부의 중요한 과제는 민주주의를 확립하고 패권주의를 극복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통진당의 남북·한미관계에 대한 인식과 대응이 현실을 따라가지 못하고 과거의 관점에 고정돼 있는 것 아니냐는 비판에 대해 “숙고할 필요가 있다. 다양한 비판 의견을 경청해서 실용적인 남북관계에 대한 입장을 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실제 통진당 차원에서 북한 문제에 대한 명확한 입장표명이 이뤄질지는 미지수다. 과거 통진당의 전신인 민노동 시절에도 주요 당직자들은 북한 인권문제에 대한 입장을 밝힐 것이라고 했지만 결국 구 당권파의 반대로 표명이 이뤄지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