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남북 이산가족 상봉을 위한 적십자회담 제안과 관련해 결정된 게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김형석 통일부 대변인은 3일 브리핑에서 “이산가족 상봉 문제는 인간적인 아픔이 있기 때문에 최우선적으로 조속히 해결돼야 한다는 입장에는 변함이 없다”면서도 “하지만 현재로서는 결정된 바 없다”고 밝혔다.
이날 일부 언론은 정부가 이달 중 북한에 이산가족 상봉을 위한 남북 적십자회담 개최를 제안하기로 했다고 보도했다.
김 대변인은 이산가족 상봉 관련 북측과의 접촉 여부에 대해선 “정부 내부에서 그런 사항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이렇다, 저렇다’고 밝힐 수 없으나 일종의 커뮤니케이션하는 것은 다양한 방법이 있다”고 확답을 피했다.
이산가족 상봉을 위한 여건과 관련, 그는 “정부가 ‘여건이 조성됐다 안됐다’고 이야기하는 것은 이산가족 상봉이 이뤄지는데 좋지 않다고 생각한다”면서 “이산가족 상봉관련 정부의 상대가 있는 문제이고 북한의 입장도 있고, 여러 가지 국민적인 사항도 고려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산가족 상봉문제 자체가 정치적인 사안으로서 다뤄지는 것이 아니고 순수적 인도적 차원에서 최우선적으로 남북간 협의하고 해결할 수 있는 분위기, 그런 것이 바로 여건이 아닌가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통일부 당국자는 “그동안 정부는 여건이 되면 이산가족 상봉을 해야 한다는 입장이었다”면서 “이번달 내 제의할지는 아직 확정적이지 않지만 여건이 되면 이산가족 상봉을 선(先) 제안할 수 있다”고 밝혔다.
다만 그는 “북한이 어제 북한 국방위를 통해 남측의 조문 태도에 대해 사죄하라는 내용의 공개질문장을 보낸 것처럼 남북관계가 아주 유동적인 상황이기 때문에 현재로서 이달내 이산가족 상봉을 제안한다고 확답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정부는 그동안 이산가족 상봉이 인도적 사안인 만큼 남북관계와 상관없이 여건만 조성되면 추진한다는 입장이었다. 그러나 경색된 남북관계 속에서 남측의 대화제의에 북한이 반응을 보이지 않고 있어 이산가족 상봉 관련 협의가 이뤄지지 않았었다.
남북 적십자회담과 이산가족 상봉은 2010년 추석을 마지막으로 북한의 연평도 포격 이후 이러지지 않고 있는 상태다. 남북 적십자회담은 2010년 추석 이산가족 상봉을 위해 그해 10월 26~27일 이틀간 개성에서 열렸다. 현 정부 들어서는 2009년 추석과 2010년 추석에 제17·18차 이산가족이 상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