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부는 21일 “비백화에 대한 진정성 확인을 위한 별도의 고위급 당국회담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밝혔다.
천해성 통일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이같이 밝힌 후 “추후 이를 위한 회담을 구체적으로 제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다만, 이번 예비회담과는 별도로 추진할 계획을 밝혀 고위급 군사회담의 전제조건으로 삼지는 않을 전망이다.
북한이 제의한 고위급 군사회담 전통문에는 우리 정부가 북한의 대화공세에 역제의했던 두 가지 사안 중 천안함과 연평도 문제만 포함됐다. 북한이 애써 무시한 비핵화의 진정성 확인 문제를 확인하기 위한 당국간 회담 필요성을 지적한 것이다.
천 대변인은 예비회담 성격과 관련해서는 “천안함 폭침과 연평도 포격도발에 대한 책임 있는 조치와 추가도발 방지 확약을 의제로 하는 회담에 나간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며 “예비회담에 나가서 의제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안에 대해서 협의를 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예비회담이 단순히 실무회담 차원을 넘어 본회담의 전초전이 될 것임을 분명히 밝힌 것이다.
한편 북한은 전통문에서 예비회담을 1월말, 고위급 군사회담을 2월상순 갖자고 제의했지만, 이에 대해 국방부는 2월 중순에 예비회담을 갖고자 일단 속도조절에 나섰다.
북한은 “조선반도의 군사적 긴장 상태를 해소할 데 대하여로 하며 회담 시기를 2월 상순에 합의되는 날짜로, 회담장소는 쌍방이 합의하는 편리 한 곳으로 북남 고위급 군사회담 개최와 관련한 실무적 문제를 토의하기 위한 쌍방 예비회담 날짜는 1월말 경으로 정하자”고 제의했다.
이에 대해 국방부는 북한이 제의한 고위급군사회담을 위한 예비회담을 다음 주 중반께 북측에 제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민석 국방부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고위급군사회담을 위한 예비회담을 내주 중반께 제의할 계획”이라며 “실제 예비회담은 2월 중순께 열린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예비회담은 대령급이 수석대표로 참가하고 고위급군사회담 의제 및 참가자 수준 등을 협의하게 될 것이라고 김 대변인은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