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부에 女風 불고 5급 팀장도 탄생

남북정책에서도 여풍(女風)이 세질 전망이다.

통일부가 23일 조직개편을 통해 팀제를 전면적으로 도입하면서 여성 팀장이 5명으로 늘어났기 때문이다.

종전에 2명이었지만 3명이 팀장 대열에 가세한 것이다.

이에 따라 57명의 팀장 가운데 9%를 여성이 차지했다.

남성 중심이던 대북 업무에서도 여성의 세심함이 빛을 발할 때가 온 셈이다.

이 가운데 선두주자는 행정고시 30회로 사회교류과장과 정치군사 분야의 회담 업무를 담당하는 회담1과장을 거친 윤미량(47) 회담관리팀장.

런던대 박사 출신으로 지난해 2월에는 통일부내 첫 여성 부이사관이 됐다.

물론 윤 팀장에게는 그 전에도 1987년 11월 통일부에 들어오면서 `최초 여사무관’을 비롯, 1996년 `최초 여서기관’, 2000년 ‘최초 여과장’ 등으로 `최초’라는 수식어가 따라다녔다.

윤 팀장과 행시 동기인 이정옥(42) 정책고객팀장도 만만치 않다.

비교적 차분한 성격의 이 팀장은 지난 해 정책고객 마일리지 제도를 도입해 정착시켰고 성실성을 인정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제협력 업무를 맡기도 했다.

새로 팀장이 된 황정주(41) 이산가족팀장은 대표적 회담통. 적극적인 업무 스타일로 유명하며 특히 분석 능력도 우수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아울러 정소운(35) 사회문화교류국 지원협력2팀장과 최은주(35) 개성공단사업지원단 운영지원팀장은 1971년생 동갑으로 행정고시도 39회로 동기다. 또 두명 모두 이번 인사에서 서기관으로 승진하는 동시에 팀장의 중임을 맡는 겹경사가 났다.

정 팀장은 하버드대에서, 최 팀장은 케임브리지대에서 각각 수학했고 정책과 회담 분야, 경협 업무의 최일선에서 뛰었다.

최 팀장은 또 행사 사회를 잘 보는 것으로도 유명하다.

이번 조직개편에서 특히 눈길을 끄는 사람은 최초의 5급 팀장이 된 권영양(49) 회담연락팀장.

권 팀장은 1981년 6급 공채로 통일부에 들어와 판문점에서 20여년 간 연락관 역할을 수행했다. 이 때문에 장관급회담을 비롯한 주요 회담이 열리면 어김없이 그 `최전선’에서 발로 뛰는 그를 만날 수 있을 정도다.

당연히 북측에도 잘 알려져 있다. 친화력과 리더십을 갖췄다는 평이다. /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