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길남 박사는 이날 발족식에서 “통영의 딸에 대한 국민 여러분의 관심과 성원 때문에 유엔도 적극적으로 나서서 북한의 답변을 얻어냈다”면서 “가족들을 구하기 위해 무엇을 해야할 지 모를 때, 많은 분들이 저에게 용기를 북돋아 주셨다”고 말했다.
대책위에는 노재봉 전 국무총리와 김현욱 민주평통 수석부의장이 명예고문으로, 국내외 국회의원과 관계자 24명이 명예위원으로 참여했다. 또한 북한인권단체·NGO·대학생단체·대학교수 등 각계각층 186명의 인사들이 대책위원으로 참여했다.
오공태 재일대한민국민단 중앙본부 단장은 사비 천만원과 민단에서 북한인권개선을 위해 모은 성금 가운데 천만원 등 총 이천만원을 대책위 측에 전달했다.
향후 대책위는 오 박사와 신 씨 모녀의 제3국 상봉에 초점을 맞추고 활동을 진행할 예정이다.
권은경 대책위 국제팀장은 “통영의 딸 문제의 실질적인 해결을 위해 제3국에서 오 박사와 신 씨 모녀가 상봉할 수 있도록 정부에 요청한 상태”라면서 “이와 함께 주한 독일 대사관에 이 문제에 대한 협조를 정식으로 요청해 오 박사와 신 씨 모녀의 상봉을 독일서 갖도록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대책위는 향후 한국 내 유엔 대사들을 찾아가 ‘통영의 딸’ 문제에 대한 설명회를 갖고 이에 대한 국제 공조를 강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현재 대책위는 북측이 주장하고 있는 신 씨의 사망에 대해 인정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북한이 유엔의 ‘임의적 구금에 관한 실무그룹’을 통해 “간염으로 사망했다”고 주장하고 있을 뿐, 신 씨의 사망을 증명할 수 있는 어떠한 증거도 내놓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권 팀장은 “유엔 실무그룹에서도 북한의 신 씨 사망 답변서를 증명이 안 된 문건이라고 규정 짓고 있다”면서 “우리는 북한에 신 씨를 비롯한 혜원·규원 자매의 생사를 확인할 수 있는 확실한 증거를 요구하며, 만약 신 씨가 사망했다면 유해를 즉각 송환하라는 입장”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