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북 봉쇄위해 양강도-함북 경비여단 맞교체

북한이 북중국경에서 국경경비대가 돈을 받고 탈북을 방조하는 행위를 막기 위해 경비대 주둔지를 맞바꾸는 ‘배비(配備) 변경 작전’을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 당국 입장에서 뇌물과 탈북이 맞바꿔지는 고착화된 비리를 뿌리뽑겠다는 의지로 해석된다.  


북한의 대규모 군부대 주둔지 교체는 1995년 발생한 ‘6군단 구테타 모의사건’ 이후 처음이다. 김정은 정권이 탈북 문제에 얼마나 민감히 반응하지는 가늠해 볼 수 있는 대목으로 볼 수 있다.


함경북도 군 소식통은 12일 데일리NK와 통화에서 “인민무력부가 국경 경비여단 배비 변경 지시를 내려 최근 함경북도 두만강 연선 국경을 담당하던 27여단과 양강도 25여단이 근무지를 서로 바꾸고 있다”고 말했다. 압록강 국경연선을 담당하는 자강도와 평안북도의 경비 여단도 같은 방식으로 부대 이동을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소식통은 밝혔다.


이 소식통은 “부대 철수 작업은 비밀리에 추진되는 일이지만, 그 규모가 커서 외부에서 목격되고 있다”면서 “부대 교체는 주민들에게도 큰 주목을 끌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함북 청진(27여단 지휘부)과 양강도 혜산(25여단 지휘부) 간의 이동이 진행 중”이라며 “군대 물자를 수송하는 열차인 ‘만대’가 지난주부터 군부대 물자를 수송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이어 “최고 상층인 지휘부를 시작으로 예하 부대로 단계별로 부대 이동이 진행되고 있다”라고 밝혔다.


소식통은 “당국이 탈북을 막지 못하는 가장 큰 원인을 이미 뿌리내린 경비대와 주민들 사이의 도강 거래라고 판단한 조치”라며 “군부대를 서로 바꿔서라도 도강 줄을 완전히 끊어 놓겠다는 차원인 것 같다”고 설명했다.


소식통 “이동하는 부대는 주둔하던 지역에 모든 설비를 하나도 남김없이 다 뜯어 갈 것이다. 새로운 부대가 다시 복구하려면 시간이 꽤 걸릴 것으로 보인다. 시간도 문제이지만 자재, 설비, 비용 해결도 어려운 일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여단은 사단보다 규모가 작은 독립부대로 병력은 1500여 명 수준이다. 주둔지 상호 교체를 위해서는 건물을 제외한 모든 장비와 무기, 생필품 등도 함께 이동시켜야 한다. 소식통은 “지금 속도라면 2, 3개월 후인 5, 6월 중에나 부대 변경을 마칠 것 같다”고 예상했다.


김정은 시대 들어 탈북자에 대해 ‘현장 사살’ ‘3대 멸족’ 등 초강경 조치의 연장선으로 볼 수 있다. 그 동안 탈북 연루자에 대한 처벌이 사후 조치였다면 경비대 주둔지 교체는 예방적 조치로 볼 수 있다. 


이번 군부대 주둔 지역 교체는 이미 수개월 전에 계획됐을 가능성이 크다. 현실적인 문제 때문에 최종 결단을 미루다가 탈북자 북송문제가 국제사회의 주요 관심사로 떠오르자 전격적으로 결단을 내렸을 공산이 크다. 


한편, 군부대 주둔 지역 변경에 대해 주민들은 “부대 변경 놀음이 탈북 통제에 얼마나 도움이 되겠느냐? 몇 달도 못가서 다시 국경 경비에 구멍이 생길 것”이란 반응을 보였다고 소식통은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