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북자들, 하나원 교육 입소 전·후 평가 달라”

탈북자 정착 교육기관인 하나원 교육에 대해 탈북자들이 퇴소 전과 퇴소 후에 다른 평가를 내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나라당 정옥임 의원실은 23일 북한이탈주민 관련 NGO와 하나원을 퇴소한 탈북자 220명을 대상으로 공동 설문조사를 벌인 결과 하나원 교육의 필요성, 교육의 도움여부 등을 묻는 질문에서 이 같은 차이가 나타난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설문에 따르면 하나원 교육이 ‘매우 필요하다’는 응답은 퇴소 전에는 90.3%에 달했지만, 퇴소 이후에는 26.5%로 급감했다. 교육의 도움 여부에 대해서도 퇴소 전에는 70.5%가 ‘매우 도움이 된다’고 응답한 것에 비해, 퇴소 후에는 14.4%로 답변 비율이 낮아졌다.

교육 방법의 만족도에 있어서는 퇴소 전 ‘매우 만족했다’는 응답이 80.6%이었던 반면, 퇴소 후에는 10.8%로 나타났다. 교육 내용이 ‘매우 만족’이라는 답변은 퇴소 전 77.1%에서 퇴소 후 10.8%로 감소했다.

이 외에도 담당강사가 만족스럽다는 응답도 퇴소 전 86.0%에서 퇴소 후 16.2%로 줄었다.

정 의원은 “탈북과 3제국의 망명 경로를 통해 남한에 입국한 탈북자들은 심신의 치료와 남한사회의 정착을 위한 교육을 가장 필요로 한다”며 “그러나 하나원에서 실시되고 있는 정착지원 프로그램을 살펴보면 이와는 전혀 상관없는 직업 교육 위주로 실시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라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 탈북 청소년 대안학교인 ‘여명학교’의 조명숙 교감은 이날 국정감사에 참고인으로 출석 “퇴소 전에는 남한 사회가 어떤지 모르는 상태에서 평가하기 때문에 만족도가 높게 나올 수밖에 없고, 실제 퇴소 후 나와 보면 현실은 다르기 때문에 낮게 나오는 것”이라며 “가스불도 못 켜는데 주식형 펀드는 가르치는 격”이라고 말했다.

한편, 친박연대 송영선 의원도 이날 배포한 보도자료를 통해 “탈북자 수는 1989년부터 현재까지 1만4천176명으로 매년 계속 증가하고 있으나, 이들에 대한 거주 및 이주 실태, 취업 등과 관련한 정확한 관리는 물론 실태파악 조차 제대로 안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전국의 탈북자 신변보호담당관은 총 732명으로 1인당 17.8명의 탈북자를 담당하고 있다”며 “특히 거주지보호담당관은 총 211명으로 1인당 51명의 탈북자를 담당하는 등 업무의 과부하로 정확한 관리와 실태조사가 사실상 어려운 실정”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