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북난민 강제송환 저지 국제시위 전개

▲중국 공안에 의한 탈북자 체포,북송을 연출하고 있는 참가자들 사진 박형민 기자

<탈북난민강제송환저지 국제캠페인>이 주최한 ‘중국정부 탈북자 북송 반대 국제시위’가 22일 오전 11시 중국영사관(광화문 교보빌딩) 맞은편 동화면세점 앞에서 열렸다. 이번 국제 시위는 전 세계 6개국 12개 도시에서 동시에 진행됐다.

혹한의 날씨에도 시위장소에 모인 120여명의 참가자들은 집회 시작 전부터 저마다 손에 무궁화꽃(탈북자도 우리 민족이라는 뜻을 상징)을 들고 “중국정부는 탈북자 북송을 중지하라” “중국정부는 국제법을 준수하라”는 구호를 외치며 사전 분위기를 돋구었다.

피랍인권연대 도희윤 사무총장의 사회로 진행된 집회는 <북한자유이주민공연단>이 준비한 북녘동포를 생각하는 춤과 노래 공연으로 그 시작을 알렸다.

이호택 사무총장은 <국제캠페인> 경과보고에서 “지난 12월 8일 <국제캠페인>이 출범하자마자 중국정부로부터 협박성 경고를 받았다”면서 “중국 정부가 우리 활동을 주목하고 있는 만큼 전 세계적인 시위를 전개해 중국정부의 전향적 조치를 이끌어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참가단체 대표 인사말에 나선 김진홍 공동대표 (기독교사회책임 고문)는 “이번 시위가 한국뿐만 아니라 일본, 미국과 독일 등 전 세계에서 동시에 이루어진 것에 큰 의의가 있다”고 강조했다. 김대표는 이어 “중국정부가 탈북자 북송을 중단할 때까지 캠페인을 계속할 것이다”고 향후 탈북자 북송반대 시위를 계속할 뜻을 밝혔다.

강제송환 사례 발표자로 나온 탈북출신 신철민(가명, 49세)씨는 “2002년에 북한으로 강제 송환된 후 <55호 단련소>에서 모진 노동과 굶주림, 학대속에서 숱한 사람이 죽어가는 것을 목격했다”면서 “더 이상 중국정부가 사람을 사지(死地)로 몰아 넣지 못하도록 우리가 노력해야 한다”고 당시를 증언했다.

<국제캠페인>은 김성호 집행위원장이 낭독한 선언문을 통해 “중국 당국이 ‘국제인권법은 중국법으로 구속력이 있으며 중국은 국제법에 해당하는 의무조항을 존중하며 중국 국내법과 국제인권법과 상충할 때는 국제협약이 우선’이라고 인정하였으므로 중국정부는 강제송환금지의 국제법을 준수할 의무가 있다”고 주장했다.

이번 시위에 가족과 함께 참가한 김은희(29세)씨는 “북한주민들과 탈북자들이 처한 상황이 너무 비참한데 많은 한국 사람이 이런 사실을 모르거나 외면하는 것이 너무 안타깝다”면서 “오늘 집회에도 외국사람들이 상당히 많이 참가한 모습을 보고 부끄러운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또한 2001년 베이징 <유엔난민고등판무관실(UNHCR)>에 난입해 난민인정을 요구하다 한국으로 들어온 길수 할머니 김분녀 씨가 집회에 참여해 “현재 북으로 강제 북송된 딸 정순애 씨가 함경북도 화대군 보위부에 수감되어 있다가 최근 정치범 수용소로 갔다는 이야기를 들었다”며 “딸의 생사확인을 위해 노력해달라”고 촉구하기도 했다.

한편, 미국 내에서 진행되는 이번 국제캠페인과 관련, 미국의 디펜스 포럼(Defense Forum) 재단의 수잔 숄티(Suzanne Scholte) 대표는 22일 워싱턴 중국 대사관 앞에서도 디펜스 포럼을 비롯해 북한자유연합(North Korea Freedom Coalition), 그리고 윌버포스 포럼 (Wilberforce Forum)등 북한 인권관련 단체 관계자들이 참여한 가운데 평화 시위를 열 것이라며, 이번 시위를 통해 국제사회가 중국의 탈북 난민 강제 송환 문제에 대해 얼마나 우려하고 있는지를 알릴 것이라고 21일 자유아시아방송에 밝힌바 있다.

관련기사:[국제캠페인] 공동대표 김진홍 목사 인터뷰

양정아 기자 junga@dailynk.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