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린턴, 첫 아시아 순방길 올라

힐러리 클린턴 미 국무장관은 15일(미국시간) 취임 후 처음으로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 4개국 순방길에 올랐다.

클린턴 장관은 이날 워싱턴D.C.를 출발해 일본(16-18일), 인도네시아(18-19일), 한국(19-20일), 중국(20-22일)을 차례로 방문하게 된다.

클린턴 장관이 유럽을 주로 방문해 온 역대 국무장관과 달리 아시아를 첫 해외순방지로 택한 것은 아시아를 중요한 협력파트너로 인식하고 있다는 뜻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클린턴 장관은 이번 아시아 순방에서 북한 핵 및 미사일 문제 등 역내 안보현안, 글로벌 금융위기 극복을 위한 협력, 기후변화협약 이행을 위한 공조방안 등을 모색할 방침이다.

특히 클린턴 장관은 북한 핵 문제와 관련해 한국, 일본, 중국 정부와 협의를 갖고 교착상태인 6자회담 재개방안과 북한의 미사일 시험발사 저지방안 등을 논의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는 방한기간에는 북한이 핵무기 프로그램을 완전히 포기할 준비가 돼 있다면 미국 정부는 북한과 관계정상화를 할 용의가 있다는 점을 재확인할 전망이다.

그러나 그는 북한이 장거리 미사일 실험발사는 물론 핵확산 활동을 계속할 경우에는 이에 상응하는 대가가 있을 것임을 상기시킬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이와 관련, 로버트 우드 국무부 부대변인은 “이번 순방은 대북정책 재검토 과정의 일환”이라고 밝혀 클린턴 장관이 한.중.일 순방을 통해 얻은 현장경험과 지식을 대북정책 수립과정에 반영할 것임을 시사한 바 있다.

클린턴 장관은 또한 방한기간 한미 FTA(자유무역협정) 문제와 관련해서도 한국 측과 의견교환을 할 전망이다.

다만 FTA 주무각료인 상무장관과 무역대표부(USTR) 대표가 아직까지 공석인 상태여서 클린턴 장관이 구체적인 제안을 하기는 힘들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클린턴 장관은 중국방문에서는 인권문제, 환율조작 문제 등을 언급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어 중국 정부의 대응이 주목되고 있다.

일본에서는 북한에 의한 일본인 납치자 가족들을 면담하고 북한에 대한 테러지정국 명단해제 과정에서 이들의 섭섭함을 달랠 계획이다.

클린턴 장관은 이번 순방에서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유년기를 보냈던 인도네시아도 방문한다. 클린턴 장관은 전 세계적으로 무슬림 인구가 가장 많은 인도네시아 방문을 통해 무슬림 세계에 다가서길 원한다는 입장을 밝혔다./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