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린턴 “美, 북한 지도자들에 책임 물을 것”

힐러리 클린턴 미 국무장관은 26일 천안함 침몰 사건과 관련, “용납할 수 없는 북한의 도발”이라며 “유엔 안보리에 회부한다는 한국 정부의 결정을 지지한다”고 밝혔다.


클린턴 장관은 이날 서울 도렴동 외교통상부 청사에서 진행된 공동기자회견에서 북한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를 쏟아냈다. 그는 “북한은 도발을 중단해야 한다”면서 “북한의 호전성과 도발행위에 눈감아서는 안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그는 “한국 정부가 제시한 증거는 압도적이었고 결과는 부인할 수 없다”며 “이것은 용납할 수 없는 북한의 도발행위이며 국제사회는 이에 대응해야 할 책임이 있다”며 국제사회의 적극적인 대응동참을 호소했다. 


이어 “이명박 대통령이 강하면서도 인내를 가지고 철저하게 진실을 규명한 것과 그 후 대응책을 마련한 방식을 치하한다”며 “한국 정부가 취하는 조치들을 전적으로 지지한다”고 말해 천안함 사태와 대한 한미 공조입장을 재차 확인했다.


유명환 외교부 장관도 앞서 클린턴 장관과의 회담내용을 소개하며 “클린턴 장관은 합동조사단의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조사결과에 대해 확고한 신뢰와 지지를 표명하였으며, 한국 정부가 천안함 사태를 침착하고 냉정하게 다루고 있는 것에 대해 평가했다”고 말했다.


클린턴 장관은 모두발언에서 “미국은 북한과 북한 지도자들에게 책임을 묻기 위해 추가적인 대응조치들과 권한을 검토할 것”이라며 “북한은 도발행위와 이웃나라에 대한 호전행위를 중단하고 비핵화 약속을 이행해야 한다”고 북한의 선택을 촉구하기도 했다.

이어 “북한의 미래는 오늘날 북한 지도자들의 선택에 달려 있다”면서 “미국은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안보와 안정을 달성하겠다는 의지가 있으며 미국과 한국의 동맹은 양국의 평화와 번영의 초석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클린턴 장관은 또 “중국도 이번 문제의 심각성을 이해하고 있으며 한국과 미국의 우려사항을 경청할 준비가 돼 있다고 본다”며 “앞으로 중국과 협의하고 협력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클린턴 장관은 방한 전 중국을 방문해 천안함 문제에 대해 중국 측과 논의했지만 한미와 여전히 온도차가 있다는 점을 에둘러 표현한 것으로 보인다.


유 장관 역시 “중국과 러시아도 시간이 걸리겠지만 사실을 외면할 수 없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그런 방향에서 저희들은 모든 노력을 경주해 왔고, 앞으로도 인내심을 가지고 이러한 문제에 대해 구체적으로 협조를 해 나갈 생각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유 장관은 천안함 사건에 따른 후속조치와 관련, “한미 양국은 이번 천안함 사건을 대응하는 데 있어 한치의 불일치도 없이 긴밀히 협의해 나가고 있다”며 “미국은 나름대로 여러 가지 양자적인 대응조치를 취해나가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유 장관은 이어 “앞으로 북한의 반응 여하에 따라 여러 가지 추가적인 조치가 이뤄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하며 북한의 대응에 따라 추가적인 조치가 있을 수 있음을 시사했다.